전북연구원, 피지컬AI 클러스터로 글로벌 선도모델 박차 속도내야

2025-09-09

백년포럼서 "전북도, Physical AI 글로벌 테스트베드로 도약 가능"

1조 원 규모 R&D 사업 예타 면제…AI와 로봇, 제조혁신의 융합 시험장될 것

전북이 특수목적기계·농기계·건설기계 산업 기반을 갖춘 만큼, ‘전북형 피지컬 인공지능(AI) 클러스터’가 세계적인 선도 모델로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9일 전북특별자치도청에서 열린 ‘전북 백년포럼’ 제37강에서 송세경 한국생성AI파운데이션(KGAF) 회장을 초청해 ‘AX 혁명을 촉발한 초거대 인공지능 딥인사이트’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강연은 인공지능(AI)이 가상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물리세계로 확장되는 흐름을 짚으며, 지역산업과 연결되는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송 회장은 초거대 인공지능(GPT 등)의 발전이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인류 문명의 전환점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는 전통적인 일자리 개념이 사라지고 문제와 과제를 중심으로 사회가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와 미국 Figure AI의 헬릭스 사례를 언급했다. 이는 AI가 물리적 노동 영역까지 대체·보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AI 발전 단계를 △AI △생성형 AI(GenAI) △AI 에이전트(GPTs) △Agentic AI △Physical AI △AGI(범용 인공지능)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가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교육제도, 정책 패러다임에 미칠 영향을 제시했다.

특히 ‘피지컬 AI’ 단계에서는 제조업, 물류, 건설, 농업 등 전통산업이 로봇과 결합해 혁신적 변화를 맞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전북이 가진 산업 인프라와 특성을 살려야 한다는 점도 역설했다.

송 회장은 “전북은 특수목적기계·농기계·건설기계 산업을 이미 두텁게 갖춘 지역으로, 물리 AI의 세계적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며 전북형 피지컬 AI 클러스터 조성을 제안했다. 이는 단순한 지역산업 육성을 넘어 국가 차원의 미래 전략과도 직결된다는 것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달 ‘협업지능 피지컬 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개발’ 사업 1조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확정받으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성과는 전북이 향후 AI·로봇·제조혁신이 결합되는 ‘AX(Automated Transformation)’ 시대를 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전북연구원 관계자는 “전북은 이미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피지컬 AI 기반을 선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전략 수립을 지속 지원해 전북형 클러스터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자치도 #전북연구원 #피지컬AI

이준서 imhendsome@naver.com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