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국정자원 화재 때, 하도급 없다더니…2명은 '몰래 하청'

2025-10-13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당시 서버 및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 작업 담당자 6명 중 2명이 원청업체의 하도급 업체 직원이었고, 국정자원은 이를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이 화재 당일 근무자 명단을 13일 확인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정자원 건물 5층 전산실에서는 원청업체인 일성계전 소속 직원 4명과 일성계전의 하도급 업체인 N사 직원 2명이 화재 당일 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이전하는 작업을 했다. 이들 외에 국정자원 직원 1명과 감리업체 직원 1명, 전산실 내 부 정전 전원장치(UPS) 관련 업체 직원 1명, 방재 및 건물 관리 업체 직원 5명이 전산실에서 근무했다.

문제는 이전 작업을 담당한 직원 6명 중 2명이 하도급 업체 직원임을 국정자원이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국정자원 측은 앞서 작업 당시 원청업체 외에 하도급 업체 직원이 근무했냐는 이 의원에 질문에 “원청업체는 일성계전이며 하도급은 없었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당시 하도급 업체 직원의 근무 사실을 파악한 이 의원실이 거듭 질문하자 “N사가 어떻게 국정자원 건물에 출입해 근무했는지 알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국정자원 관계자는 “화재 당시 작업 근무자를 다시 파악하는 과정에서 N사 직원의 근무 사실을 확인했다. N사 직원이 일성계전 소속인 것처럼 출입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성권 의원은 “사고 위험이 커 꼼꼼한 관리가 필수인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작업을 하면서 국정자원이 화재 당일 원청업체의 ‘몰래 하청 사실’도 파악하지 못한 것은 당시 작업이 부실 관리 속에 이뤄진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국가 중요시설의 출입 관리가 허술하게 관리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업무 및 민원 서비스 시스템 709개 시스템 중 260개(36.7%)가 복구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