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뉴스] 서다민 기자 = 한국소비자원은 가습기 13개 제품의 품질(가습량·가습면적·소음 등), 경제성(연간 유지관리비용 등),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 제품·가습방식에 따라 가습량·유지관리비용·소음 등 주요 성능에 차이가 있어 구매 전 사용공간·목적에 맞는 제품인지 확인이 필요했다고 30일 밝혔다.
시험평가 대상 13개 제품의 시간당 가습량은 최대 3.3배(182~606㎖/h) 차이가 있었고, 이를 가습면적으로 환산했을 때 12.9~42.9㎡ 수준이었다.
가습방식별로 초음파식은 미로(MH7000)가 267㎖/h, 가열식은 르젠(LZHD-H85)이 499㎖/h, 복합식은 LG전자(HY704RWUAB)가 606㎖/h, 기화식은 샤오미(CJSJSQ02 XYKR)가 433㎖/h로 가습량이 가장 많았다.
2개 제품은 공기청정기 겸용으로 활용이 가능했으나, 가습면적과 공기청정면적에 차이가 있어 사용용도에 따라 사용공간을 달리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전기요금·필터 교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간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한 결과, 초음파식 제품은 4640~6420원, 가열식 제품은 7만2750~9만1070원, 기화식 제품은 5330~10만8330원, 복합식 제품은 1만5780~18만9290원 수준으로 제품 간 최대 40배 이상 차이가 났다.
제품별 최대 소음(음향파워레벨)은 37~62㏈ 범위 수준으로 제품 간에 차이가 컸고, 가열식 제품의 경우 처음 물이 끓는 과정에서 52~55㏈까지 소음이 높아져 수면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감전보호(누설전류·절연내력), 구조(전도) 등 안전성 및 표시사항은 전 제품이 이상 없었다.
가열식 가습기 3개 제품은 99도의 고온 증기가 분무됐고, 끓임 단계에서는 수조 내부 물 온도가 100도 이상으로 올라가 뜨거운 증기가 분출되거나 제품 전도 시 뜨거운 물이 쏟아질 수 있어 화상사고에 주의가 필요했다.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세균 방출·악취·이물 발생 가능성에 차이가 있어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세척이 필수적이다. 시험대상 전 제품은 수조를 포함한 주요 부품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세척 편의성이 높았다.
가습기 구입 시에는 ▲사용공간·방식별 특성 등을 고려해 적합한 가습 방식을 결정하고 ▲가습량·유지관리비용·소음·가격 등을 꼼꼼히 비교한 후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가전제품의 품질비교·안전성 정보와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환경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T톡]슬립테크 가전, 기준이 없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9/news-p.v1.20251029.aa9f41814079481986d9d8d094dc25e6_Z1.png)
![[디지털 라이프]히트펌프·태양광·AI 가전 '풀패키지'…LG 스마트 코티지 살아보니](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9/news-p.v1.20251029.af6b800f08cd4f388bacec8d2306e941_Z1.jpg)





![[2025 하반기 혁신특허 기술대상] 70% 적정 습도 24시간 유지](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30/321ba68c-6bae-4f2c-a48c-3a0f8fa31c8b.jpg)
![[예규·판례] ‘강화유리’ vs ‘부분품’…태양광 패널 유리, 최종 판단은?](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7225654003_006d8b.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