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CEO 서밋] 가먼 AWS CEO "AI 에이전트가 산업 혁신"...400억 달러 투자

2025-10-29

"AI는 모든 기업·산업·직업을 변화시킬 기술"

일본 MUFG·인도네시아 텔콤셀 등 성공 사례 소개

"2028년까지 14개국에 400억 달러 인프라 투자"

[경주=뉴스핌] 서영욱 기자 = 맷 가먼(Matt Garman) 아마존웹서비스(AWS) 최고경영자(CEO)는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회의(APEC CEO 서밋)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AI)은 모든 기업, 산업, 직업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닌 기술"이라며 "효율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높이는 차세대 혁신의 물결"이라고 말했다. 그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지난 20년간 가장 큰 기술 변화였다면, 생성형 AI(GenAI)는 그보다 더 큰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가먼 CEO는 "AI 에이전트(Agents)가 고객이 기대하던 투자수익(ROI)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텍스트 요약을 넘어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결정을 내리며 사용자를 대신해 행동할 수 있다"며 "수천 개의 업무를 동시에 처리하고 계속 학습해 기업의 특성과 흐름을 반영한 맞춤형 결과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고객 중 일부는 생산성과 효율성이 2배, 3배, 많게는 10배까지 증가했다"고 밝혔다. "AI 에이전트가 바로 지난 몇 년간 기대해온 AI의 실제 가치를 실현하는 열쇠"라고 설명했다.

산업별 사례도 제시했다. 그는 "금융 분야에서 일본 미쓰비시UFJ은행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복잡한 금융 분석과 제안서를 자동화하고 있다"며 "제안 대상 고객 수가 10배로 늘고 전환율이 30% 높아졌다"고 말했다. 또 "인도네시아 통신사 텔콤셀은 AWS 기반 AI 시스템을 구축해, 이전에는 20명이 1시간 걸리던 문제 해결을 이제 1명이 1분 만에 처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가먼 CEO는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데이터"라며 "데이터는 기업의 지적 자산이자 경쟁력을 구분 짓는 요소"라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가 온프레미스(내부 서버)에 묶여 있으면 AI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없다"며 "데이터를 현대적 클라우드 아키텍처로 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환경을 갖춘 기업들이 현재 가장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AI 혁신을 가능하게 하려면 글로벌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AWS의 신규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AWS는 2028년까지 미국 외 14개 APEC 국가와 경제권에 총 4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할 예정"이라며 "이 투자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에 450억 달러의 추가 효과를 가져오고, APEC 전체 경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AWS는 이미 일본·호주·싱가포르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했으며, 뉴질랜드·태국·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신규 리전을 개설했다. 가먼 CEO는 "한국에서는 SK그룹과 협력해 무산(Musan)에 전용 AI 리전을 구축하고, 기존 서울 리전도 확장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투자는 고객이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혁신과 기술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며 "AWS는 기업들이 빠르게 AI 기술을 도입해 변화를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함께할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연설을 마무리했다.

s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