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용역 보고서…청소년 겨냥 전자담배 마케팅 실태 및 인식 수준 첫 공개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 대체제 혹은 금연 보조제다."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4명이 전자담배에 대해 이렇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 향과 세련된 디자인을 앞세운 담배 회사의 교묘한 마케팅에 청소년들이 무방비로 넘어가고 있는 실태가 정부 용역 보고서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9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삼육대학교가 수행해서 최근 공개한 '아동·청소년 전자담배 사용 예방 교육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초·중·고교생 302명 중 39.7%가 전자담배를 '일반 담배의 대체제' 또는 '금연 보조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반 담배보다 덜 해롭다' 거나 '전혀 해롭지 않다'는 응답도 32.2%에 달해 유해성에 대한 심각한 오해가 퍼져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이런 잘못된 인식의 배경으로 담배 회사의 '청소년 맞춤형 마케팅'을 지목했다. 이들 담배 회사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청소년에게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광고를 집중적으로 노출하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인터뷰에서 "담배 같지 않고 예쁜 디자인", "역한 냄새 대신 나는 과일 향" 때문에 전자담배에 호기심을 느꼈다고 답했다. 마케팅이 청소년의 구매 욕구를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문제는 전자담배 역시 명백한 '담배'라는 점이다. 보고서는 전자담배에 니코틴 등 중독 물질과 각종 유해 화학물질이 포함돼 있으며, 그 증기(에어로졸) 역시 단순 수증기가 아닌 발암물질을 포함한 유해 물질이라고 명시했다.
특히 청소년기에 니코틴에 노출될 경우 성인보다 중독에 훨씬 취약하고 뇌 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고서는 기존의 예방 교육이 이런 새로운 위협을 막기에 역부족이라고 진단하며 청소년들의 문화 코드를 활용한 새로운 교육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그 일환으로 연구진은 '전자담배도 담배'라는 핵심 메시지를 담은 18초짜리 CM송과 인기 '밈(meme)'을 활용한 짧은 영상 등 청소년들이 즐겨 쓰는 플랫폼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했다.
전문가들은 "담배 회사가 미래 고객 확보를 위해 청소년을 겨냥하고 있다는 사실을 사회 전체가 직시해야 한다"며 "가정과 학교에서부터 전자담배의 실체에 대한 정확하고 현실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