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 기업 10곳 중 8곳 "다시 가고 싶다"

2025-10-14

개성공단이 재가동될 경우 과거 입주했던 기업 10곳 중 8곳이 재입주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남북경협에 대한 중소기업계 인식과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남북경협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달 22일부터 1일까지 개성공단 입주기업 124개사를 포함해 2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의 80.0%는 개성공단 재가동 시 재입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개성공단의 경제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입주기업도 87.2%에 달했다.

재가동 시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기업 피해 보상 기준 마련(52.7%), △정치·군사적 리스크 완화(25.5%), △통행·통신·통관제도 개선(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질문에서는 응답 중소기업의 45.5%가 남북 경제협력이 한국의 경제발전과 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중국이나 베트남 등 신흥국 대비 북한의 투자 환경이 '유리하다'고 응답한 업체도 36.0%에 달했다.

남북경협의 장점(복수응답)으로는 '인력 확보 용이성'이 25.1%로 가장 많았고, △지리적 접근성(21.0%), △언어·문화 유사성(18.9%), △원자재·자원 확보 용이성(15.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남북경협 추진형태로는 △북한 내 접경지역 경제특구(35.0%), △남한기업의 북한 위탁생산(33.5%), △남한 내 접경지역 경제특구(21.0%) △제3국 내 남북 생산기지 공동 운영(6.5%) 순으로 응답했다.

남북경협 재개를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남북경협 특별법 등 법률장치 마련'이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행·통신·통관 등 인프라 개선(22.5%), △재산·신체 손해배상 방안 마련(1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남북경협은 중소기업의 제조 기반 회복과 한반도 평화경제 실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미국의 고관세 정책과 중국의 저가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현 상황에서 남북경협은 중소기업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