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 사이에서 주로 유행하는 수족구병 환자가 최근 3개월 사이 17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당국은 아동이 있는 가정과 보육시설 등에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가장 최근인 33주차(8월 10~16일)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외래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의심환자 수)은 26.7명이었다. 지난 5월말(21주차)에는 1.5명에 불과했으나, 꾸준히 늘어 3개월 사이 17.8배 증가했다.
특히 0~6세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36.4명으로, 7~18세(7.1명)보다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질병청은 “봄에서 가을까지 주로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수족구병은 손·발·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게 특징인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발진 외에도 발열이나 무력감, 식욕감소, 구토·설사 등의 위장관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데, 환자의 대변이나 분비물(침·가래·콧물, 수포의 진물)에 접촉하거나, 이로부터 오염된 장난감, 집기 등의 물건을 만지는 경우 감염될 수 있다.
대부분 발병 7~10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뇌염·마비증상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수족구병이 의심되는 경우 의료기관 진료가 필요하다. 특히 ▶6개월 미만 영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2일 이상 발열 등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수족구병 환자는 어린이집 등원과 외출을 자제해 타인과 접촉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질병청은 “어린이집·유치원에서는 장난감·놀이기구·문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와 주변환경의 소독관리를 철저히 해야하고,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수칙을 잘 지키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에 걸린 경우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