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미지정 회계사들이 14일 서울정부청사에서 과도한 회계사 선발을 규탄했다.
미지정 회계사는 시험 합격 후 일자리가 없어 법정 수습과정조차 밟지 못하는 회계사들을 말한다.
공인회계사 선발 인원 정상화 비상대책위(이하 비대위)는 이날 ‘미지정 회계사’들이 누적 600명에 달한다며, 실무수습을 제때 받지 못해 감사품질의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회계사 시험에 합격하면 2년의 법정 수습기간을 밟아야 한다. 1년에 1200명의 신규 회계사가 선발되는데, 회계업계 내 이들을 수용할 일자리는 크게 부족하다.
기업에 취업할 수는 있지만, 회계사의 본업인 ‘기업회계감사’ 실무 경험을 쌓을 수는 없다.
비대위는 과도한 회계사 선발로 미지정 회계사들이 늘어나면, 일부 회계사들은 회계감사 경험이 없어 자본시장 신뢰성을 감시하는 회계사 영역이 제역할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비대위는 해법으로 회계사 신규 선발인원을 줄이고, 제대로 된 수습 일자리를 보장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음은 비대위가 금융당국에 대한 요구사항이다.
하나. 금융당국은 잘못된 수요 예측에 기반한 현재의 선발 인원에서 즉시 탈피하고, 회계법인 내에서 양질의 실무 수습이 가능한 수용 인원으로 선발 인원을 즉시 정상화하라.
둘. 금융당국은 현재 미지정 회계사들에게 제공되는 한국공인회계사회 연수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실무 경험 연수가 가능하도록 조치하여 적격성을 확보하라.
셋. 금융당국은 앞으로 선발 인원 결정 시, 실체가 불분명하고 구체적인 수요 예측이 불가한 사기업 수요 예측시 공인회계사들의 의견을 반드시 반영하여 장기 인원 수급 계획을 수립하라.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