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상반기 마약류 집중단속...중점 단속 테마 선정
지난해 청년·온라인 마약류 사범 총 1만3512명 검거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텔레그램 등 보안 메신저와 가상자산을 이용한 온라인 마약류가 확산되고 있다고 보고 온라인 마약류 척결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국수본은 지난 17일부터 6월까지 시행하고 있는 '2025 상반기 마약류 집중단속'에 온라인 마약류를 중점 단속 테마로 선정해 수사역량을 집중한다.
또 국수본은 의료용 마약류, 취약지역 마약류, 양귀비·대마 밀경을 중점적으로 단속한다.
국수본이 온라인 마약류 단속을 강화하는 데에는 최근 10~30대 청년층에서 마약류 사범 비중이 급증하면서 온라인 마약류가 익명거래, 비대면 배송 방식 등으로 인해 고액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집계한 결과 지난해 청년층 및 온라인 마약류 사범은 총 1만3512명이 검거됐다. 이들 중 10~30대 마약류 사범은 8566명으로 전체 63.4%를 차지했고, 온라인 사범은 4274명으로 전체 31.6%를 기록했다.
2020년 10~30대 검거 사범 비중은 51.2%였고, 온라인 사범은 21.4%였으나 4년간 두 항목 모두 10%p(포인트) 급증했다.

국수본은 2020년부터 각 시도청에서 운영하던 '다크웹·가상자산 전문수사팀'을 '온라인 마약수사 전담팀'으로 개편해 전담 대응 체계를 정비한다.
개편된 전담팀은 기존 저인망식 수사에서 불법 가상자산 거래소, 판매 광고 대행업자, 전담 운반책 등 유통 수단에 대한 타깃형 수사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서울경찰청은 이날 오후 3시 서울청 마약범죄수사대 사무실에서 '온라인 마약 수사 전담팀' 현판식을 진행하고 온라인 마약류 척결 의지를 다질 예정이다.
전문 수사역량 강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다양한 온라인 판매 채널에 대한 사이버 추적기법 및 관련 법령, 제도에 관한 전문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가상자산 추적프로그램과 분석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가상자산 유통경로 추적과 범죄수익 환수 활동을 동시에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온라인 마약류 거래 창구로 악용되는 불법(미신고) 가상자산 거래소, 전문 광고업자에 대해서는 마약류 매매 방조 혐의 적용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해외 IT 기업과 보안메신저 등이 온라인 마약류 범죄에 이용된 경우 국제공조 인프라를 활용해 수사 단서를 확보한다. 해외 유입 마약류에 대해서는 지난해 9월 발족한 아시아 마약범죄 대응 실무협의체(ANCRA)의 '국가 간 마약류 수사 협력 채널'을 적극 가동해 국경을 초월한 수사망을 촘촘히 펼쳐 나갈 예정이다.
국수본 관계자는 "마약류 범죄는 유통 기반 범죄로 온라인 유통 수단 간 연결고리를 단절함으로써 온라인 마약류 시장을 와해하겠다"면서 "마약류는 단 한 번의 투약으로도 돌아올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에 호기심으로라도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