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형태 공시 후 가장 높아
HDC현대산업개발은 92%

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이 지난해 41.2%를 기록했다. 고용형태공시제를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19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의 ‘대기업 비정규직 규모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300인 이상 고용한 전국 4057개 대기업의 비정규직 인원은 약 238만명으로, 전체의 41.2%를 차지했다. 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은 2017년 40.3%에서 2021년 37.9%로 감소했다가 2022년 39.8%에서 2024년 41.2%로 다시 높아졌다.
300명 이상 500명 미만 기업의 비정규직 비율은 28%인 반면, 1만명 이상 거대기업의 비정규직 비율은 46.2%에 달했다. 특히 파견·용역 등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이 높았다. 1만명 이상 기업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은 33.3%로, 직접고용 비정규직 비율 12.9%보다 훨씬 높았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 때는 공공 부문 중심으로 비정규직 남용을 막겠다는 정책을 폈기 때문에 민간 기업들도 눈치를 보고 자제했는데, 윤석열 정부는 재계 우위 또는 재계의 편을 드는 정책을 주로 펴니 대기업들이 거리낄 것 없이 비정규직을 다시 늘리기 시작했다고 해석된다”고 전했다.
여성 비정규직 비율이 43.3%로 남성(40%)보다 높았다. 비정규직 비율이 80%가 넘는 노동자 1만명 이상 대기업에는 HDC현대산업개발(92.8%), 한국맥도날드(89.4%), 한진(88.7%), 현대건설(88.2%) 등 14개사가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