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교육위원회 박성준 의원실이 교육부 학교도서관시스템 ‘도서로’(read365.edunet.net)를 통해 자체 조사한 결과, 호남 지역 초·중·고 학교도서관에서 총 162권의 역사 왜곡 서적이 확인됐다고 했다.
해당 도서들은 제주 4·3 사건을 폭동으로 규정하거나 군사정변을 미화하고, 일제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는 왜곡된 역사관을 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섬의 반란 1948년 4월3일 △편견에 도전하는 한국현대사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등이 다수 확인됐다. 지역별 현황은 △전북 57권 △전남 32권 △광주 47권 △제주 26권으로 집계되며, 일부 도서는 초등학교 도서관에서도 비치된 사실이 확인됐다.

*뉴라이드 사관 :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생애 △걸어서라도 가리라, 돌아온 이승만 △나라의 아버지, 대통령, 각하, 이승만 △(김일성이 일으킨) 6.25 전쟁 △(편견에 도전하는) 한국현대사 △대한민국 건국 이야기 1948.
*식민지 근대화론 : △반일 종족주의 △반일 종족주의의 투쟁 △반일종족주.
*민주화 역사 왜곡 : △대구 10월 폭동 제주 4.3사건, 여순반란사건 △섬의 반란, 1948년 4월 3일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2,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2 △보랏빛 호수 △제주 4.3 사건: 지워지지 않는 오욕의 붉은 역사 △역사로서의 5.18 1·2
특히 광주의 경우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전국 학교도서관협의회가 대출제한 도서로 분류한 일부 책들이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열람되고 있는 정황이 확인됐다.
더 나아가 일부 역사 왜곡 서적에 교육청 소속 현직 교원이 추천사를 남긴 사례까지 드러나면서 교육 현장의 검증 시스템 부재가 지적되고 있다.
이 문제는 지난 8월 언론에 보도된 이후 전라남도교육청과 광주시교육청이 전수조사와 재발방지 대책을 약속했으나,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상당수 역사 왜곡 서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청 차원의 후속 조치가 미흡했다는 비판이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박성준 의원은 “학생들의 역사 인식은 민주 시민 교육의 출발점이며, 검증되지 않은 역사 왜곡 서적이 학교 공간에 유입되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교육청 차원의 선제적 검증 제도를 도입하고, 학교도서관 도서 선정 기준을 강화하여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 의원은 “문제가 드러난 이후에도 일부 서적만 형식적으로 정리하고 근본 대책을 미루는 것은 책임 있는 교육행정이라 보기 어렵다”며,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 개선을 교육청에 강력히 요구했다.
![[단독] 통일연구원 자료에 ‘1948년 건국론’ 버젓이…‘윤석열 캠프’ 출신이 원장](https://img.khan.co.kr/news/2025/10/27/news-p.v1.20251027.f1da656da0e34309bacd12eba4b5595a_P3.webp)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무라야마 담화’의 가치](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20251026510487.jpg)


![[단독] "일본은 틀렸다"…日고교에 독도교재 보내는 재일교포 2세](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7/03b596be-ab54-457a-9d3a-03505a8c1bd9.jpg)

![반환점 돈 국정감사, SNS로 보는 양당 성적표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https://newsimg.sedaily.com/2025/10/26/2GZBTY7NWZ_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