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금융감독원이 이복현 전 원장 재직 시절, 외부행사용 패션과 메시지 전달 전략 등 기관장 개인의 정치적 이미지를 관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금감원 조직의 사유화·정치화 논란이 불붙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7일 입수한 금감원 내부 자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핵심 분석조직 ‘금융상황분석팀’은 이 전 원장 외부행사 관련 개인 이미지 홍보 관련된 내부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문건에는 ‘패션도 정치다. 티셔츠에 담긴 메시지’라는 제목 아래 ‘원장님 외부행사 시에 티셔츠 문구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안을 활용 가능’ 등이 적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상황분석팀은 금융회사의 애로사항을 수렴·파악하고 금융산업 발전 저해요인을 발굴하는 부서다.
그러나 원장 개인 외부행사 이미지 연출을 담당하는 조직이 아닌데, 원장 개인의 ‘정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한 셈이다. 금융산업 분석 대신 기관장 개인의 대외활동과 패션 메시지 전략을 다룬 보고서를 금융상황분석팀이 작성했다면, 이는 명백한 직무 일탈이자 조직 사유화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단순한 비판만이 아니라, 금융감독원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및 직무범위 일탈에 해당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금융상황분석팀이 과거 금감원 정보팀의 이름만 바뀐 조직으로, 원장의 지시에 따라 불필요한 정보 수집을 하고 있다’며 금융정보분석팀의 존재 목적과 운영 실태에 대한 전면 재점검 필요성이 제기됐다.
금융감독원 조직도를 살펴보면, 금융상황분석팀은 팀장을 제외한 전 직원의 직무가 모두 ‘금융관련 동향 수집 및 분석’으로만 기재되어 있다.
타 부서들이 개인별로 구체적인 담당 영역이 명시되어 있거나 팀 내에서도 업무 구분이 명확한 것과 달리, 금융상황분석팀만 유독 구성원 전체가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는 형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금융상황분석팀이 검찰 내부의 범죄정보기획관실(일명 범정)처럼 운영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범정은 ‘검찰총장의 눈과 귀(정보조직)’로 불렸지만, 정치적 중립성 논란 끝에 폐지된 바 있다.
박 의원은 “금융현안 분석 조직이 기관장 개인의 홍보와 이미지 관리에 동원됐다면 금융감독원의 근간을 훼손한 행위”라며 “금융상황분석팀이 언제부터 이런 문건을 작성하게 되었는지, 또 그동안 어떤 보고서와 활동을 해왔는지 전반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상황분석팀이 본연의 업무와 무관한 영역에 관여해 왔다면, 그 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환점 돈 국정감사, SNS로 보는 양당 성적표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https://newsimg.sedaily.com/2025/10/26/2GZBTY7NWZ_8.jpg)


![[단독] 통일연구원 자료에 ‘1948년 건국론’ 버젓이…‘윤석열 캠프’ 출신이 원장](https://img.khan.co.kr/news/2025/10/27/news-p.v1.20251027.f1da656da0e34309bacd12eba4b5595a_P3.webp)

![[단독] 정부, ‘윤석열 경호처’ 군중감시 AI 사업 중단 검토](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6/news-p.v1.20251026.b7a2f638da964ba79e19ca5e11744124_P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