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선이 다가오면서 정치테마주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해당 기업의 절반 이상이 '부실 상태'로 조사되면서 금융당국이 투자자 피해를 막기 위해 대응 체계 강화에 나섰다.
1일 금융감독원은 정치테마주 불공정거래 관련 특별단속반을 확대 운영하고 오는 7월 말일까지 집중 제보 기간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부터 18일까지 특정 정치인 관련된 종목 중 '투자 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60개 종목을 정치테마주로 분류했다.
정치테마주의 자산 규모가 영세한 중·소형주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종목의 평균 자산총액은 코스피 상장사는 4317억원, 코스닥 상장사는 994억원으로 각 시장 평균 대비 12.8%, 49.7% 규모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테마주에 해당하는 기업의 절반가량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부실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이 분류한 60개 기업중 29개 기업이 부실 상태다. 이들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코스피 1.1%, 코스닥 0.8%로 시장 대비 현저하게 낮았다. 28개 종목의 이자보상비율은 1 미만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상환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수익성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테마주 평균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코스피 종목은 10억원 적자, 코스닥 종목은 5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주가는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지난달 22일까지 정치테마주 지수의 평균순자산비율(PBR)은 2.3배로 시장 평균 2배보다 높았다.
주가의 등락률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정치테마주 지수의 일별 주가등락률은 최저 마이너스 6.5%에서 최고 18.1%로 시장 평균 대비 3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정치테마주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제보기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금감원 조사국 내 설치된 정치테마주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반장을 조사1국장으로 격상했다.
또 주요 정보 전달 매체, 이상 급등 종목, 민원·제보 다수 종목, 대주주 대량 매도 종목, 최근 대규모 전환사채(CB) 전환 종목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거래소 등과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해 역할 분담과 정보 공유도 확대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날부터 오는 7월 31일까지 정치테마주 불공정거래 관련 집중 제보 기간을 운영한다"며 "제보 관련 최대 30억원 포상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