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이사 시즌…이런 공공서비스 어때?

2025-02-06

가전제품 등 폐가전 무상 수거

전 주소 우편물 현 거주지 배송 서비스

행안부, 2월 추천 공공서비스 소개

#1. 새집으로 이사를 하게 된 A씨. 내 집을 마련했다는 설렘도 잠시, 이삿짐을 정리하다 기존에 쓰던 오래된 가전제품을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이 됐다.

A씨는 아파트 관리실에 혹시 도움을 받을 수 있나 문의했고, 관리실 직원은 아파트 관리 앱으로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고 알려줬다.

직원 말대로 아파트 관리 앱에 들어가 보니 ‘폐가전 무상 수거’ 신청란이 있었고, 수거할 제품과 수거 날짜 등을 입력하니 곧바로 예약이 확정돼 수거까지 간편하게 이뤄졌다.

#2. 직업 특성상 전국 각지로 이동이 많은 B씨. 지난 발령 때 급하게 이사를 하면서, 우편물 주소지를 변경하지 않아 등기 등 중요한 서류들이 모두 예전 거주지로 배송돼 하루 시간을 내어 가지러 다녀온 경험이 있었다.

이번 이사에는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방법을 알아보던 중, 우체국에 신청만 하면 전에 살던 집으로 간 우편물을 이사온 집으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B씨는 이사 후 ‘정부24’로 전입신고를 하며 ‘주거이전 우편물 서비스신청’도 함께 손쉽게 신청할 수 있었고, 중요 우편물이 이전 주소지로 오배송되지 않을까하는 걱정에서 벗어났다.

행정안전부는 입학과 전학, 인사이동 등으로 이사가 많아지는 2월을 맞아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와 이사 후 이전 주소지로 간 우편물을 현 주소지로 배송해 주는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를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로 선정했다.

행안부는 공공기관 서비스 중 이슈·시기별로 국민이 유용하게 활용할 정책을 ‘추천 공공서비스’로 선정해 매월 소개하고 있다.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지자체 및 가전제품 제작·판매사가 협력해 부품 재활용은 늘리고, 폐기물 배출은 줄여 지속 가능한 친환경 순환 체계를 구축하고자 2014년부터 시행한 서비스다.

일반 가정에서는 폐가전을 버리는 게 자주 있는 일이 아니다 보니, 가전을 처분할 때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때 ‘e-순환거버넌스’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회원가입 없이도 간단한 절차를 거쳐 날짜와 장소 등을 등록해 신청만 하면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아파트) 거주자는 월 관리비나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는 ‘아파트아이, 아파트리, 아파트너’ 등 아파트 관리 앱에서도 바로 신청이 가능하다.

아파트 관리 앱을 통한 신청은 한국환경공단과 아파트 관리 운영사 민·관 협업이다. 지난해 5월부터 시작된 서비스다. 범정부 혁신사례 경진대회인 ‘2024 정부혁신 왕중왕전’에서 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대형가전(냉장고, 세탁기 등)은 1개부터 수거가 가능하며 설치제품(에어컨, 벽걸이 TV 등)은 미리 분리해야 한다. 다만, 사다리차 등 인력 외 장비가 필요한 경우는 수거 신청이 불가능하다.

소형가전(핸드폰, 공기청정기 등)은 5개 이상부터 무상 수거 신청할 수 있다. 소형가전은 집 근처 가까운 ‘폐가전 수거함’을 통해서도 버릴 수 있다. 폐가전 수거함 위치는 ‘자원순환실천플랫폼 - 내집 앞 폐가전 수거함’에서 확인하면 된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우정사업본부)는 이사 뒤에 이전 주소지로 발송된 우편물을 현 거주지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다. 이사 이후 주소 변경을 바로 하지 않아 자주 발생하는 오배송을 예방할 수 있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는 새 주소지가 전 주소지와 동일권역이면 3개월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서비스를 연장(3개월 단위)할 때는 별도 비용(개인 4000원, 단체 5만3000원)이 발생한다.

다만, 전송하려는 주소지가 타 권역이면 최초 신청부터 개인은 7000원, 단체는 7만원의 이용료를 납부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시·도 내이거나 광주-전남, 대전-세종 등의 이사는 동일권역으로 석 달간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대전에서 충북 청주시로 이사 가는 경우 권역이 달라 유료로 이용해야 한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는 우체국을 직접 방문하거나 우체국 홈페이지 또는 ‘정부24-전입신고’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밖에 은행·카드·통신사 등 행정서비스 외 주소 변경이 필요한 경우 ‘KT무빙 원클릭 서비스를 이용해도 된다.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정부혁신 홈페이지(혁신24) 및 SNS 채널(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정부는 더 나은 국민 일상을 위한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통해 국민 불편은 줄이고, 편의는 더욱 높이는 정부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