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미국의 승인을 받아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본격화하자 일본에서도 핵잠수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신임 총리는 과거 핵잠수함과 관련 "국제 환경에서 최악의 위험을 생각하면 장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에서 "모든 선택지를 배제하지 않고 억지력, 대처력 향상에 필요한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이 보도했다. 가히라 장관은 "현시점에서 정해져 있는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방위성 당국자를 인용해 "한국의 영향으로 일본 내 핵추진 잠수함을 바라는 여론이 더 커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강한 일본'을 앞세운 다카이치 정부가 집권 초반부터 군사력 강화에 힘쓰는 것은 정해진 수순이라는 평가다. 특히 핵잠수함 도입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게도 숙원 사업이다.
지난달 20일 집권당인 자민당과 일본유신회가 연정 수립 과정에 맺은 12개 주요 합의에는 '차세대 추진력'을 갖춘 VLS(수직발사장치)를 탑재한 신형 잠수함 보유가 명시됐다. VLS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하는 장치로 차세대 추진력 잠수함은 장거리 미사일을 탑재하고 장기 잠항이 가능한 핵추진 잠수함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
고이즈미 신지로 신임 방위상 역시 지난달 22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차세대 추진력'의 신형 잠수함 보유를 언급했었다. 그는 "모든 선택지를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다.
한국이 도입하려는 핵잠수함은 핵무장이 아니라 잠수함 동력을 핵연료로 쓰는 것이다. 물과 식량과 있으면 무제한 잠항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디젤엔진 잠수함과는 비교할 수 없는 방위력을 갖고 있다.
![외교부 "韓재래식 원잠, NPT 부합" 中에 정면 반박[경주 APE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31/52112f72-f4fa-4f4a-a8f4-aa4ca0208f2c.jpg)


![트럼프 핵실험 선언, 동북아에 던진 ‘판도라 상자’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1/2H0A9U7CRT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