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가치 하락 10가지 구조]
현관 홀·지붕 있는 현관
판매 주택의 1%에 불과
그라니트 카운터톱 인기
쿼츠·워터폴 수요에 밀려

주택에도 유행이 있다. 생활 방식이 변하면 구조나 형태, 소재도 생각보다 빨리 변한다. 한때 인기 있던 것들도 몇 년도 지나지 않아 유행에 뒤처지기도 한다. 유행에서 밀렸다는 것은 미적 기준이나 생활에 필요한 편리성에 미치지 못했다는 의미이고 결국 주택 가치를 떨어뜨린다. 부동산 정보업체 레드핀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난해 인기가 급격히 떨어진 주택의 특징과 그 이유를 발표했다.
▶지붕 있는 현관 (Front Porch)
-현관이 있는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2만 50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현관이 있는 비율: 1%
현관 앞에 덱 같은 휴식 공간을 만들고 위에 지붕을 덮은 공간이다. 많은 영화에서 등장인물이 흔들의자에 앉아 있는 바로 그 공간이다. 주로 휴식에 활용되는데 최근에는 인기가 많지 않다. 대부분의 오락과 여가 활동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면서 바깥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 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전통적인 현관은 사생활 보호에 취약하기 때문에 뒷마당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 현관은 건축비는 비싸지만, 주택의 건평에는 포함되지 않아 가치 상승 기여도가 거의 없다.
▶현관 홀(Foyer)
-현관 홀이 있는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54만99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현관 홀이 있는 비율: 1%
현관 홀은 손님을 맞이하고 외투 등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자동차 키나 우편물을 잠시 놓는 작은 가구를 놓고 사용하기도 했다. 이런 용도로 현관 앞 공간을 사용하려는 이들이 줄고 집값이 오르면서 집값 마련 자금이 부족한 주택 구매자들이 늘면서 주택 가치가 거의 없어졌다. 집 내부가 곧바로 보이는 구조도 인기가 줄어든 요인이 됐다.
▶세라믹 바닥 (Ceramic Floor)
-세라믹 바닥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7만9919달러
-판매된 주택 중 세라믹 바닥이 있는 비율: 1.1%
세라믹 바닥은 최근 고급 비닐(LVP)이나 하드우드 바닥재에 밀려 구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시공과 유지 비용은 높은데도 차갑고 단단한 질감이 새로 나온 대체재들보다 아늑한 느낌이 부족하다.
▶그라니트 카운터톱 (Granite Countertop)
-그라니트 카운터톱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9만80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그라니트 카운터톱이 있는 비율: 1.5%
화강암인 그라니트 카운터톱은 고급스러운 천연소재로 인기를 끌었지만 쿼츠 카운터톱에 밀렸다. 화강암인 그라니트는 열과 내구성이 좋지만 표면의 미세한 틈 때문에 음식물이 스며들어 색이 변할 수 있다. 쿼츠는 석영과 폴리머를 사용해 변색이 없고 색상이 다양하다. 부엌에서 밝은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쿼츠의 인기가 높다. 최근엔 카운터톱을 옆면까지 연장해 바닥까지 연결하는 폭포형 카운터톱(Waterfall Countertop)'이 트렌드가 되면서 그라니트 인기가 더욱 떨어졌다.
▶천연가스 유틸리티 (Natural Gas Utilities)
-천연가스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3만 달러
-판매된 주택 중 천연가스 사용 비율: 1.5%
천연가스는 전기보다 경제적일 수 있지만 가격 변동성이 높고 실내 공기 질에 미치는 영향 등의 이유로 인기가 떨어지고 있다.
▶마스터 욕실 (Master Bathroom)
-마스터 욕실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4만99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마스터 욕실이 있는 비율: 1.5%
마스터 욕실은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 가족 수가 많은 주택 구매자들에게는 불편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다른 가족이 욕실을 이용하려면 매스터 침실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카펫
-카펫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2만50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카펫이 있는 비율: 2.7%
카펫은 따뜻하고 흡음성이 뛰어나지만 유지 관리가 어렵고 쉽게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하드우드 바닥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마스터 침실
-마스터 침실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5만40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마스터 침실이 있는 비율: 2.7%
과거 주택에서는 마스터 침실이 기본적인 요소였지만, 최근에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대형 침실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
▶신축 주택
-신축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0만5000달러
-판매된 주택 중 신축 주택 비율: 3.2%
신축 주택은 최신 건축 기술을 사용한 장점이 있지만 건축비 절감을 위해 가격이 저렴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가치 평가에서 불리할 수 있다. 또 오래된 주택이 더 견고하다는 인식 때문에 신축 주택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지하실
-지하실이 있는 주택의 전국 평균가격: 40만9301달러
-판매된 주택 중 지하실이 있는 비율: 4%
지하실은 혹한 지역에서는 난방 장치를 보호하는 필수 요소지만 기온이 온화한 지역에서는 주로 창고나 여분의 공간으로 활용되는 정도여서 실용성이 낮다. 이런 용도로는 지하실보다 편리한 공간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어 지하실이 있는 주택의 수요는 높지 않다.
안유회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