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인근 밀레니엄 힐튼 호텔, 2032년 준공
르메르디앙 호텔, 크라운호텔 등도 착공 예정
우발채무 해소에 긍정적...건설업 악화에 지연 가능성도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현대건설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형 개발사업의 잇단 착공에 나서면서 수조원대 우발채무 리스크가 해소될지 주목된다.
서울역 인근 밀레니엄 힐튼 호텔 부지의 개발 프로젝트를 오는 2032년까지 준공할 계획이다. 이어 가양동 개발, 강남 르메르디앙 호텔 등 조 단위 규모의 대형 개발사업도 연이어 추진한다. 다만 부동산 경기 악화와 금리 부담은 사업 속도의 장애 요소로 인식된다.
◆ 12.4조 PF 규모 현대건설…대형 프로젝트 착공 통해 금융 리스크 조절

27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서울역 밀레니엄 힐튼 호텔 부지 개발사업 및 철거공사를 오는 2032년 4월까지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지난 2월 현대건설이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하며 본격화된 이 프로젝트는 총 공사비 약 1조1878억원으로, 지난 3월 관리처분계획인가를 획득해 철거 작업이 가능해졌다.
착공과 함께 프로젝트 브릿지론의 본PF 전환도 이뤄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기존 브릿지론 약 1조4000여억원은 오는 8월 만기가 예정돼 있어, 착공과 함께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현대건설은 이와 같이 지난해부터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브릿지론에서 본PF로의 전환 및 착공을 순차적으로 준비 중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가양동 CJ 부지다. 총 사업비 6조원 규모에 이르는 이 사업은 현대건설의 브릿지론 보증액만 1조5000억원을 상회했으나, 지난해 10월 본PF 조달에 성공한데 이어 지난 2월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하고 3월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했다.
현대건설이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착공과 함께 PF 우발채무 리스크를 속속들이 줄여나가는 이유는 막대한 PF 우발부채 규모 때문이다.
지난 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현대건설의 연결 기준 PF(대출) 관련 신용보강 보증금액은 12조4346억원으로, 이 중 컨소시엄 사업을 제외한 현대건설 단독 사업의 PF 보증 규모는 12조3221억원, 특수관계자에 제공된 신용보강은 1조7188억원 상당이다.
단독 사업 중 기타사업으로 분류되는 아파트, 업무시설, 상업시설 개발의 브릿지론 보증 한도 및 실제 보증 금액은 각각 1조8441억원에 이른다. 특히나 브릿지론은 본PF로 전환되기 이전의 단기 금융으로, 통상적으로 금리가 높고 사업 인허가 지연이나 분양 시장 악화 시 자금 회수의 불확실성이 크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착공과 맞물리는 본PF 전환은 현대건설의 단기적 재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가양동 CJ 부지가 본PF로 전환될 조짐을 보이자,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가양동 CJ부지 등 본 PF 전환으로 미착공 PF 보증 잔액이 4조원대에서 1조7000억원 규모로 축소될 전망"이라며 우발 채무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 르메르디앙 호텔, 크라운호텔 등도 착공 예상돼
이에 착공이 예정된 프로젝트의 소식에도 관심이 쏠린다. 가양동 CJ 부지와 인접한 가양동 이마트 부지 개발사업도 착공이 가시화되는 중이다. 현대건설이 8690억원의 연대보증을 제공한 해당 사업 브릿지론은 올해 말에 만기를 앞두고 있다. 이에 착공도 브릿지론 만기 전에 이뤄질 전망이다.

강남권 대형 프로젝트인 르메르디앙 호텔 부지 개발사업도 지난해 10월 서울시 건축심의를 통과한 후, 지난 3월 강남구청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여 현재 유관부서 협의가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건축허가가 완료되는 대로 본PF 전환을 준비하여 하반기 착공될 것으로 보인다. 브릿지론은 현대건설이 2650억원 한도의 연대보증 및 자금보충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출잔액은 2200억원이다.
이태원 크라운호텔 부지 개발사업도 올해 안에 착공이 예상되는 프로젝트 중 하나다. 현대건설은 이 사업에 1906억원의 브릿지론을 제공하고 있으며 만기는 내년 3월 19일로 예정돼 있다.
총 사업비 약 12조원 규모의 복정역세권 스마트시티 개발사업도 주목을 받는다. 현대건설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이 사업은 지난해 2월 계약금 3200억원을 납부하며 본격화됐다. 복합2블록은 내년 초 착공, 전체 단지는 2029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대건설은 PF 우발채무는 지난해부터 PF 협의체 구성을 통해 지속 관리 중이라는 입장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PF 프로젝트의 타당성, 예상 현금흐름, 담보력, 사업주체의 신용도를 다각도로 심사하는 등 내부 심사 및 승인 강화하고 있다"며 " PF 프로젝트별 진행 상황, 원리금 상환 현황, 사업성 악화 위험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언급된 PF 사업장은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으로 우량 사업지로 꼽히며 전략적 보증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착공에 돌입하기 위해서는 암초가 존재한다. 서울역 밀레니엄 힐튼 호텔 부지 개발사업 역시 당초 2031년 준공을 목표로 했으나, 1년 가량 늦어졌기 때문이다. 이는 호텔 내 상가인 힐튼양복점과 호텔을 소유한 이지스자산운용과의 갈등이 지속된 것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명도를 대가로 양복점에 제안한 금액에서 조정되는 대로 착공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