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는 16일 “유엔(UN) 인종차별철폐위원회의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견해를 환영한다”며 “나중이 아닌 지금,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 후보는 이날 성명을 내고 “UN 인종차별철폐위원회가 대한민국에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는 권고를 담은 견해를 발표했다”며 “구조적 인종차별 현실과 혐오 확산에 대한 위원회의 깊은 우려와 비판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앞서 UN 인종차별철폐위원회는 지난 9일 ‘대한민국 제20-22차 정기 심의에 대한 최종견해’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한국에서) 이주민, 난민신청자, 중국계 등에 대해 온·오프라인에서 인종차별적 증오 발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한다”며 하루빨리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권 후보는 “(UN의) 차별금지법 제정 권고는 2007년부터 시작되어 반복됐고, 이번 권고는 벌써 14번째”라며 “1997년에는 김대중 대통령 후보의 공약이었고, 2006년엔 노무현 정부 국가인권위원회가 권고하기도 했다. 이제 더는 국민적 합의나 나중으로 미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권 후보는 “비상계엄 이후 우리 사회에는 차별과 혐오의 말들이 넘쳐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전히 비상계엄 자체를 반성하지 않고, 혐오 정서를 기반으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에겐 출마 자격이 없다”며 “후보직에서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후보는 “UN 권고를 발판 삼아 모든 사유에 대한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즉각 제정하겠다”며 “이를 통해 차별로부터 시민을 보호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를 다하겠다고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권 후보는 대선 후보 중 10대 공약에서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포함해 성평등·여성 공약을 발표한 유일한 후보다.
진보정당·진보단체 연합체인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는 지난달 30일 권영국 정의당 대표를 대선 후보로 최종 선출했다. 권 후보는 지난해 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낙선한 뒤 12년 만에 원외 정당이 된 정의당의 대표가 됐다. 정의당은 지난 5일 대선 기간에 한정해 민주노동당으로 당명을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