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등 경제 회복 및 미래 먹거리 투자 위해 추경 동감
이 "증세, 민간부담 커져"…김·김 "적극적 재정 확보 필요"
[미디어펜=서동영 기자]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증세'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입장이 엇갈렸다.
세 후보는 18일 MBC '특집 100분 토론'에서 진행된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 참석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첫 번째 경선 토론이다.
이 자리에서는 고물가와 저성장의 늪에 빠진 상황에서 트럼프 관세 전쟁까지 닥친 우리 경제 회복을 위한 처방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세 후보는 모두 대규모 추경 집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먼저 김동연 후보는 "미래 먹거리 산업 지원이 필요하다"며 "30조 원에서 50조 원 정도의 추경 대책을 여러번 촉구했다"며 "추경을 통해 취약계층 등 어려운 분들을 돕고 미래 먹거리를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수 후보 역시 "불법계엄으로 한국경제가 더 어려워졌다"며 "김동연 후보가 말한 것처럼 대규모 추경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이어 "근본적인 해결방안 대민 성장방식 한계 도달했다고 생각한다"며 "새로운 성장축 만들어야 한다. 수도권 일극인 성장축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후보 역시 추경에 동의했다. 이 후보는 "내수가 워낙 침체돼 있다. 내수시장을 살리기 위한 골목상권, 자영업자를 살리기 위한 즉각 조치가 필요하다"며 "당연히 대규모 추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증세 필요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렷다. 이재명 후보는 민간에 부담이 커진다는 이유로 증세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김동연 김경수 후보는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주장했다.
먼저 이재명 후보는 "현재 경제 상황이 너무 어렵기에 정부의 부담을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는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재원은 재정지출 조정이나 조세지출 조정으로 마련하고, 성장률을 회복해 근본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김경수 후보는 "지금의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려면 적극적 재정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재명 후보가 말한 조세지출 조정만으로는 필요한 재정 확보가 어렵다"고 반박했다. 김동연 후보 역시 “유력 정치인들이 감세 얘기를 하면서 많은 공약을 내세우는 건 정직하지 못하다”며 “국민을 기만할 수 있다”며 이 후보의 논리가 앞뒤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