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기술 발굴부터 기술 수출까지”…바이오벤처 생태계 지원 강화

2025-04-27

정부가 제약바이오 창업기업 지원 확대에 속도를 낸다. 원천기술 발굴부터 사업화, 투자유치, 수출로 이어지는 완결형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바이오벤처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정부가 지난 1월 15일 발표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서다. 조성방안은 유망 원천기술 사업화 촉진, 바이오벤처 투자환경 조성,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혁신기반 구축 등을 추진 전략으로 담았다.

TF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바이오벤처 대상 창업, 연구개발(R&D) 프로그램 마련 방안도 협의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신약 후보물질 탐색 R&D와 해외 기술협력 등 바이오벤처 기술개발 지원체계 고도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바이오벤처 지원 강화에 나서는 것은 국내 초기기업이 기술 잠재력을 보유했음에도 산업 주체 간 유기적인 협업은 아직 미흡하다는 판단에서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해 말 59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산업 현장 애로사항으로 응답기업 55.9%가 R&D·정부지원금 등 자금 부족을 꼽았다.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기술이전 등 사업화 경험 부족은 각각 15.3%, 13.6%로 뒤를 이었다.

벤처·스타트업은 바이오산업 특성상 기술개발 비용과 기간은 상당한데, 정부기관과 투자자가 짧은 기간 내 R&D 성공과 매출 실현 등을 원하다 보니 투자유치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호소해왔다. 이에 창업 초기부터 목표 설정·물질 발굴·회수 방안 등을 전문 창업기획자와 설정하고, 신약개발 특화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지원과 해외 대학·제약기업과 협업 등 정부 지원체계 고도화로 원천기술 사업화를 촉진하려는 것이다.

바이오 분야 협업을 촉진하는 펀드도 조성한다. 중기부가 지난 24일 출범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15개 회원사와 연합 컨소시엄을 구성해 출자자로 참여한다. 투자 제약회사와 전략적 협업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추진하는 바이오 벤처 초기투자 전용 모태펀드는 임상 이전 기업에 건당 최대 20억원을 투자해 선도·후보물질 유효성, 독성·물성 등 검증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한다.

전문가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바이오벤처 성장을 가로막는 임상시험·허가기준 등 규제환경 개선까지 범정부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강원 글로벌 혁신특구에 분산형 임상시험을 도입하려 했지만, 의료인·약사가 직접 약을 배송해야 한다며 복지부 반대에 가로막혔다.

한 헬스케어 스타트업 대표는 “의료기기 인허가를 받더라도 급여 지정까지 또 난관이 산재하다”면서 “국내에서 실증 사례를 확보하며 유용성을 입증해야 글로벌 진출이 용이한데, 여기에 시간이 걸리면서 개별 회사가 아니라 대한민국 바이오·헬스케어 경쟁력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호소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