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차이나로드] 마셨다하면 삼백잔, 불렀다하면 이노래 이백의 말술과 최애 시

2025-11-28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구이저우성 황과수 폭포가 시원스럽게 흘러내립니다.

'황하는 하늘에서 내려오고, 바다로 흘러간뒤 다시 돌아오지 못하네' (黄河之水天上来 奔流到海不复回)

이곳은 황하와 다른 지류 황과수 폭포입니다. 하지만 이백의 장진주 노래 처럼 물줄기가 마치 하늘에서 흘러내려오는 듯한 느낌입니다.

시선으로 불리는 당나라 시인 이백은 한번 뿐인 인생을 바다로 흘러드는 황하에 비유했습니다.

황하에서 처음 건설된 다리 간쑤성 란저우 황하제1교입니다.

중국인들은 황하를 친숙하게 '어머니의 강(母親河)'이라고 부릅니다.

황하는 중국의 9개 성시자치구를 굽이굽이 흘러갑니다.

여긴 섬서성 옌안시와 산서 린펀시를 가로지르는 후커우폭포입니다.

낭만파 시인 이백의 장진주는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한 시입니다.

이백은 자신의 대표적인 음주시 장진주에서 마음껏 패기를 발산하고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초월적인 정신세계를 드러냅니다.

사람들의 바쁜 일상처럼 황하도 어딘가를 향해 분주하게 흘러갑니다.

황하는 야크의 고장 칭장고원에서 발원하여 발해만으로 흘러듭니다.

'거울에 비춰보며 무얼 한탄하는가. 아침 청단같은 머리가 저녁에 백설이 되는 게 인생인 것을'

'인생 의미를 알았으면 맘껏 즐겨야하지, 술잔을 공허히 달빛에만 내맡기겠는가'

이백의 시 장진주는 술권하는 노래입니다.

주름과 백발을 한탄하지 말고 인생을 맘껏 즐길 것을 권유합니다.

산둥성 제남 구간 황하강변에 표지석과 산책나온 주민들이 보입니다.

황하 하구의 고장 산둥성 둥잉시 마을 공방에 황하가 '히늘에서 흘러내려온다' 는 장진주 첫 구절이 액자에 걸려 있습니다.

공자의 고향 곡부 호텔에도 장진주 서예 액자가 놓여있습니다.

칭다오 박물관에서는 여행안내원이 장진주를 낭송합니다.

'하늘이 나를 낸 것은 쓸모가 있기 때문이 아니겠나, 천금을 쓰고 나면 다시 주머니가 채워질 것을'

'양고기를 삶고 소고기를 썰어 기쁨의 술 한잔을 나누자, 잔을 한번 들었으면 삼백잔은 마셔야 하지 않겠는가(나중에 한잔해요)'

여기는 동잉시 황하입해구입니다.

둥잉은 5400 여킬로미터의 황하가 바다(발해만)와 만나는 곳입니다.

황하의 물길은 바다와 만난 뒤에도 여객선으로 한시간이나 가야할 만큼 긴 시간동안 대해속으로 흘러갑니다.

짙은 녹색의 바다와, 누런 황하, 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이 어우러져 대자연의 오묘한 신비를 발산합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