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정연구원이 대광법 개정 이후 현 상황을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고 전주권 광역교통망을 위한 표준화된 기초 데이터 확보가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19일 전주시정연구원(원장 박미자)은 ‘JJRI(전주시정연구원) 이슈브리핑 제7호’를 통해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광법) 개정에 따른 전주권 광역교통 발전을 위해 5년 주기로 실시되는 국가교통조사에 조속히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교통조사’는 국토교통부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을 근거로 5년 주기로 실시하는 전국 단위의 법정 교통조사이다.
이 조사는 각 지역의 통행실태를 조사한 후 국가 교통정책과 투자사업을 설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주시는 올해 대광법 개정 이후 대도시권으로 새롭게 편입되면서 내년에 수행 예정인 국가교통조사 사업 참여가 가능해졌다.
이에 연구원은 조사가 5년 단위로 이뤄지는 만큼 내년도 사업 참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소 5년간의 공백이 발생함에 따라 내년 조사 참여를 위한 준비가 시급한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국가교통조사가 단발성 조사가 아닌 중장기 계획으로, 조사 이후 ‘기·종점 통행량 전수화 및 현행화 사업’이 연계 추진되는 등 전국 및 대도시권 지역의 교통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분석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원은 신뢰도 높고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적용한 타당성 분석 결과와 정책 수립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공의 성격이 강한 교통정책 특성상 데이터 기반의 교통정책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박미자 전주시정연구원장은 “이번 대광법 개정은 단순한 법령 변화가 아니라, 전주권이 명실상부하게 국가 광역교통체계의 일원이 되었음을 의미한다”며 “앞으로 국가교통조사 참여를 위해 노력하고 현재 추진 중인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전주권이 실효성 있는 사업이 포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창환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