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항공 탄소중립 선도…새로운 성장동력 SAF [D:로그인]

2024-10-20

항공분야 온실가스 전세계 배출량 2.6%

SAF 감축수단 70% 이상…美·日·EU 본격 도입

韓 2월 SAF 대체연료 지정·생산 근거 마련

국산 SAF 급유 국제선 정기운항 실시

최근 세계는 급변하는 물결 속에 다양한 생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등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 중립, 디지털 첨단 기술을 접목한 4차 산업혁명 등 저마다 시장 선점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와 공공기관 역시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 중입니다.

데일리안이 기획한 [D:로그인]은 정부와 공공기관 신사업을 조명하고 이를 통한 한국경제 선순환을 끌어내고자 마련했습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거치는 [로그인]처럼 이들 신산업이 한국경제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조명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

지속가능항공유(SAF)는 는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연료다. 국제항공에서 탈탄소 효과가 가장 큰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고 기존 석유 항공유의 대체재 중 하나로 꼽힌다.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세계 19개 국가에서 기후위기 대응 차원에서 SAF 급유 상용운항을 시행 중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SAF 혼합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항공유 수출국가로서 글로벌 SAF 수요 확대(2022년 24만t→2030년 1835만t, IATA)에 대응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유망한SAF 시장 선점을 위한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항공분야 온실가스 전세계 배출량 2.6%…항공 승객 증가 등으로 감축 필요성 확대

2019년 기준 전세계 항공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13억1000만t CO2로서 전세계 CO2 배출량(497억6000만t)의 2.6%(출처 : Our World in Data)다. 승객 1명이 1㎞ 이동시 CO2 배출량은 비행기 285g, 버스 68g, 기차 14g으로 비행기는 버스의 4배, 기차의 20배를 배출한다. 특히 성층권에서 직접적인 CO2를 배출해 온실가스 효과를 증폭시킨다.

우리나라 국제선 CO2 배출량은 2200만t CO2로 수송분야의 16%(2019년 기준)를 차지한다. 향후 2025년 2만3000t CO2, 2050년 4만3000t CO2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따른 탄소상쇄비용은 2025년 130억원에서 2050년 37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글로벌 항공승객은 매년 증가 예상 2019년 약 8조 RPKS(수익승객 킬로미터, 수익승객x여행거리)에서 2050년 20조RPKS로 급격한 성장이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SAF 전체 항공분야 온실가스 감축수단 70% 이상 차지 전망

다른 분야에 비해 항공분야는 특히 탈탄소화가 곤란해 SAF 활용 필요하다. 에어버스 A380 최대 이륙중량 약 600t 중 250t(42%)이 항공유로 배터리는 무거워서 어떤 배터리로도 석유에 해당하는 에너지밀도에 필적할 수 없다.

SAF는 전체 항공분야 온실가스 감축수단 중 7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넷 제로(Net Zero) 2050 달성을 위해서는 SAF 활용은 필수라는 것이다.

SAF 시장전망은 2027년경 현재보다 20배 내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일본은 아시아지역 SAF 시장을 향후 약 22조엔(약 195조5000억원)으로 충분한 SAF 제조 설비·운용 역량 확보 시 해당 시장을 석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민간항공기구 '국제항공탄소상쇄·감축제도' 이행 결의…美·日·EU도 본격 도입

주요국의 SAF 도입 동향을 살펴보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경우 지난 2016년 39차 총회를 통해 '국제항공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 이행을 결의했다.

전세계 국제운항 항공사가 배출한 탄소 배출량이 기준 초과시 항공사가 배출권 구매 및 상쇄하는 제도로 국제항공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2020년 수준으로 동결하는 것이 목표다.

기준치(2019년 탄소배출량)을 초과해 탄소배출 시 탄소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해 초과분을 상쇄하며, 적용범위는 CORSIA 참여국간 국제선 노선이다.

미국은 2021년 9월부터 SAF 그랜드 챌린지(Grand Challenge)를 시행 중이다. SAF에 대한 연방적책의 가장 명확한 성명으로 에너지부, 교통부와 농림부가 SAF의 생산 및 사용확대를 시도하는 정부차원의 양해각서(MOU)다. 목표는 2030년 연간 SAF를 30억 갤런, 2050년 350억 갤런로 증가시켜 2030년 항공유 중 10%를 SAF로 대체하고 2050년 100%를 달성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에너지안보와 경제 파급 효과 측면에서 SAF 산업에 과감한 지원 정책 추진 중이다. 미국처럼 SAF 설비투자 이후 생산단계에도 정책지원이 있어야 민간투자 유도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리퓨엘EU 에이비에이션(RefuelEU Aviation)을 통해 SAF를 2025년 2%, 2030년 6%, 2040년 34% 2050년 70% 으로 단계적으로 사용량 목표를 상향 의무화하고 있다. 법적구속력이 있고 유럽기후법과 파리조약에 명시돼 있다.

한국, 올해 2월 SAF 대체연료 지정·생산 법적 근거 마련…2026년 대량생산 추진

우리나라는 시장 변화에 대응한 선제적 설비투자로 전세계 항공유 수출 1위 유지·확대 중이다. 기존 석유정제설비 개조를 통해 SAF 소량 생산(2024년 부터), 중장기적으로는 별도의 전용 SAF 생산설비 구축을 통한 대량 생산(2026년 부터)을 추진한다.

SAF 생산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도 구축한다. 올해 2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개정으로 SAF를 대체연료로 지정해 생산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과거 석유정제공정에 석유 외의 원료 투입이 불가했지만 법안 개정으로 폐플라스틱열분해유 등 친환경정제원료 사용을 허용했다. 친환경 연료의 개발·이용·보급 확대, 원료 확보 지원 등 국내 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정도 신설했다.

지난 3월 신성장 사업화 시설 범위를 확대해 탄소중립 분야에 바이오매스 유래 에너지 생산시설에 항공유 생산시설을 포함했다. 항공업계는 탄소중립 이행 및 국제 규제 대응을 위해 국내 안정적인 SAF 생산과 공급을 요청 중이다.

국산 SAF 급유 국제선 정기운항 실시…투자세액공제 확대 방안 등 검토

한편 SAF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 지원정책 확대와 규제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자금지원을 통한 연구개발(R&D), 시범·보급사업 가속화가 필요하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8월 30일부터 국내 공항에서 우리나라 항공사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인증한 국산 SAF를 급유, 국제선 정기운항을 실시하고 있다.

운항노선, 기간과 SAF 혼합비율 등은 국적항공사가 자율적으로 정하고 국내 정유사와 SAF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ICAO의 CORSIA가 모든 회원국(193개국) 대상으로 의무화되면서 국제항공 탄소규제가 강화되는 2027년부터 국내출발 국제선의 모든 항공편에 SAF 혼합(1% 내외) 급유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향후 SAF 사용 의무화에 따른 항공사의 탄소절감비용이 항공운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항공 운수권 배분 방식 개선, 가칭 '항공탄소마일리지 제도' 도입(2025년 연구용역) 검토, '공항시설 사용료 인하' 등을 강구해 나간다.

아울러 국내 기업의 R&D·시설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자세액공제 확대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향후 높은 SAF 생산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마련할 계획이다.

적극적인 규제완화를 통해 SAF 원료의 범위를 확대하고, 국내 SAF 생산공장 신설 투자가 확정되면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 업계 등이 참여하는 '전담 TF'를 구성해 인허가 등을 집중 지원한다.

SAF 생산의 주 원료인 폐식용유 이외에도 동물성 유지, 팜 부산물 등 현재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해외 바이오자원을 공동 조사하고 국내 기업이 사용을 희망하는 원료에 대해서는 SAF 생산실증 및 품질검증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미세조류, 그린수소 등 원료 수급에 제한이 적은 차세대 원료 기반의 SAF 생산기술도 확보하여 원료 공급역량을 강화한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글로벌 SAF 시장 선점을 위해 범부처 역량을 결집해 정책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예정"이라며 "정유·항공업계와 긴밀한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지속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