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대만 침공을 위한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에 민간 선박으로 구성된 ‘그림자 함대’를 본격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선박 추적 데이터와 위성 이미지 분석을 통해 중국이 올여름 실시한 해상 훈련을 집중 추적한 결과를 공개했다. 8월 23일 광둥성의 한 해변에서 진행된 훈련에서는 민간 화물선이 해변에 직접 접근해 차량을 하역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민간 화물선의 해변 직접 상륙이 위성으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훈련에 동원된 민간 선박 12척 중 6척은 차량과 승객을 운송하는 ‘롤온 롤오프 페리’이며 나머지 6척은 건설 자재 같은 중량 화물을 운반하는 갑판 화물선이었다.
로이터가 미국과 대만의 상륙전 전문가 10명에게 분석을 의뢰한 바에 따르면 중국군이 다양한 민간 선박을 활용한 훈련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전직 미 잠수함 장교인 토머스 슈가트는 “침공 시 대만 해변에 충분한 병력과 장비를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이 진전됐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발달된 조선 산업을 고려할 때 민간 선박들이 전면적인 대만 침공 작전에서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는 “규모와 복잡성 면에서 제2차 세계대전의 노르망디상륙작전을 능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군사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군은 현재 군함과 상륙정만으로 약 2만 명의 정예병을 수송할 수 있다. 하지만 대만 방어군 제압에는 30만~100만 명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돼 민간 선박 함대가 필수다. 이번에 투입된 민간 선박은 길이 약 90m로 300만 달러 미만의 저렴한 가격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대량 투입이 가능하다. 경사로와 개방 갑판으로 별도의 항구 시설 없이도 해변에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다만 대만해협의 주요 상륙 가능 지점에는 이미 방어 태세가 구축돼 있어 이번 훈련이 대만을 겨냥한 ‘심리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