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대신 로봇이 애를 낳는 시대 온다?"…中, AI 임신 로봇 1년 내 상용화 선언

2025-08-11

‘인공지능(AI) 임신 로봇’이 1년 안에 등장한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들썩이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 로봇 개발업체 심천 카이와(Shenzhen Kaiwa Robot Company)의 장치펑(Zhang Qifeng)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박사는 지난 8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임신과 출산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갖춘 ‘AI 임신 로봇’을 개발해 1년 안에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가격은 10만위안(한화 약 1933만원) 미만으로 책정할 예정이다.

장 박사팀에 따르면 이 로봇은 인간 형태의 휴머노이드 로봇 내부에 인공 양수로 채워진 인공 자궁을 내장하고 있다. 바이오리액터 챔버를 통해 자궁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며 37℃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양수 순환 시스템, 영양 공급 네트워크, 센서를 통한 산전 관리, 그리고 미세 전류를 이용한 수축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봇의 복부는 태아 성장에 맞춰 팽창하는 특수 소재로 제작됐다.

연구팀은 이 로봇이 2017년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병원의 '인공 자궁 바이오백'과 달리, 배아 이식부터 자연 분만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라고 강조했다. 기존의 바이오백은 조산아를 위한 인큐베이터 역할에 가깝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학계 전문가들은 장 박사의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로봇 개발 진행 상황, 임상 실험 여부 등 구체적인 내용이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핵심 기술인 탯줄 혈류 시뮬레이션과 태반 대사 교환을 해결했다고 주장했지만 전체 임신 주기에 대한 실험 데이터 발표를 돌연 연기한 상태다. 또한 난자와 정자가 수정돼 인공 자궁에 착상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부족하다.

현재 과학계의 인공 자궁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양과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 태아가 단기간 생존한 사례는 있지만 인간 배아가 전체 임신 과정을 거쳐 기계에서 성공적으로 태어난 전례는 없다.

전문가들은 태반 대사, 면역 체계, 신경 발달 등 복잡한 생리적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적 난관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장 박사의 발표를 "마케팅을 위한 속임수"로 보고 있다.

다만 실현 가능성을 차치하더라도 이 소식은 저출산 문제와 대리모를 둘러싼 윤리적 논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찬성하는 측에서는 자궁 기형으로 인한 불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출산의 고통과 양육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반면 반대 측에서는 "비윤리적이다",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한다" 등의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난자 확보 문제 등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출산이 더 이상 여성만의 영역이 아니게 되어 성 권력 구조 전체가 재편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피임약과 시험관 수정 기술이 생식 자율성과 한계를 확장했듯이 AI 임신 로봇이 생식 능력과 신체의 경계를 완전히 해체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