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비트코인 붐과 함께 성장한 '영구 스와프(perpetual swap, perp)'가 더 큰 시장인 전통 주식의 세계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미국 규제 환경에서는 합법의 영역이 아니라 속도가 더디지만 이미 침투는 시작됐다.
암호화폐 시장의 핵심 플레이로 자리잡은 영구 스와프는 실제 코인을 매수하지 않고도 가격 변동에 베팅할 수 있는 파생 상품이다.
최대 100배까지 레버리지를 쓸 수 있고 만기가 없기에 포지션을 원하는 만큼 유지할 수 있다. 연중 24시간 거래가 이뤄지는 코인의 세계와 잘 어울린다.

18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베스트 랩스(Vest Labs)를 비롯한 트레이딩 플랫폼 사업자들은 이제 이 거래 기법을 코인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테슬라나 코인베이스와 같은 개별 종목, 그리고 나스닥100 선물이 거래되는 전통 주식시장에 적용하고 있다.
실제 주식을 매수하지 않아도 코인을 담보로 해당 주식의 가격 방향에 베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월가의 트레이딩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블록체인 인프라로 거래가 이뤄진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레버리지를 100배까지 쓸 수 있고 24시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은 투기적 (성향의) 개인들의 구미를 당길만 하다.
작동방식은 간단하다.
스테이블코인 등을 담보로 나스닥100 선물이나 특정 종목의 방향성에 베팅한 뒤 예상대로 움직이면 돈을 번다. 예측이 어긋나면 손실액이 담보에서 차감된다. 이 과정에서 주식의 실제 매매는 이뤄지지 않고, 방향성 포지션(롱 혹은 쇼트)만 잡히며 코인이 증거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선물처럼 행동하고, 증권을 모방하며, 암호화 인프라에서 돌아가는 주식 버전의 영구 스와프를 규제할 법적 근거는 아직 미국에 없다.
더구나 레버리지를 3배로 제한하고, 모든 선물 상품에 만기를 설정하도록 한 미국의 규제환경에서 이런 상품(영구 스와프)거래는 불법의 영역이다. 따라서 미국 투자자들은 공식적으로 이런 거래에 참여할 수 없다. 다만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에 기반하기에 의지만 있다면 우회로를 찾을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더구나 코인 생태계를 확장하고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감안하면 코인 세계의 영구 스와프가 머지 않아 전통 주식 거래의 세계에 '합법적으로' 들어올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osy75@newspim.com
![송금 코인 넘어 RWA 인프라로…'스텔라루멘' 반등 포인트는 [알트코인 포커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S3RWB_1.png)

![[골프회원권 동향] 알트코인 닮은 블록체인 회원권, 혁신인가 탐욕인가?](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10831/art_16282122319073_2168dd.jpg)


![아마존·구글·메타…"美 M7 AI 투자 내년에도 이어질 것"[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1K9779_1.jpg)
![유투바이오, 최대주주 '엔디에스→이재웅' 변경 소식에 상한가 [Why 바이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JR38V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