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도 전기차 시장 본격진출 앞서 WTO에 제소 "차별 규정 철폐하라"

2025-10-16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비야디(比亞迪, BYD)를 필두로 한 중국의 전기차 업체들이 인도 진출을 준비 중인 가운데, 중국이 전기차와 배터리 문제를 가지고 인도를 WTO에 제소했다.

중국 상무부는 인도가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에 지급하는 보조금 조치에 대해 WTO에 제소했다고 발표했다고 중국증권시보가 16일 전했다. 중국 상무부는 인도 측에 "WTO와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하고 잘못된 조치를 즉시 시정하라"고 촉구했다.

상무부는 "인도의 보조금 조치는 인도 업체들에게 불공정한 경쟁 우위를 제공하고 중국의 이익을 해친다"며 "중국은 중국 내 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도 발표했다.

인도는 2019년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중국을 배제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인도는 전기차와 배터리의 자국 내 생산을 추진하면서 중국산 제품은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다. 또한 중국 업체들의 인도 진출을 불허해 왔다. 대신 미국과 서방세계의 기술과 자본을 기반으로 중국을 배제한 자체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왔다.

중국으로서는 자국 업체들이 인도 시장에서 차별을 받아온 만큼, WTO에 제소하는 것은 정당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특히 올해 들어 중국과 인도의 관계가 호전되기 시작했고 현재 중국 업체들이 인도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시점이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중국 업체들의 본격적인 인도 시장 진출에 앞서 중국 정부가 나서서 인도의 차별적인 조치들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인도 진출에 적극적인 중국 업체는 비야디가 꼽힌다. 비야디는 인도 내 사업 확장을 위해 대규모 인력을 파견하고 있으며, 내년 초 인도에 소형 전기 SUV인 '아토(Atto) 2' 출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도 전해졌다. 비야디는 현재 인도에서 아토 3 등 4개 모델을 판매하고 있다.

지난 2023년 비야디는 1조 원 규모를 투자해 현지 배터리 공장 건설을 모색했지만, 인도 정부가 불허하면서 건설 계획은 중단됐다.

ys174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