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광복 80주년 경축사에서 “일본과 셔틀외교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상생 협력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정부에서 사라졌던 ‘과거사’에 대한 언급이 부활하긴 했지만 자극적인 발언을 최소화하고 양국의 협력 관계에 더 무게를 실었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우리 곁에는 여전히 과거사 문제로 고통받는 분들이 많이 계신다”며 한일 관계의 과거사 문제를 언급했다. 일본 정부를 향해서는 “과거의 아픈 역사를 직시하고 양국 간 신뢰가 훼손되지 않게 노력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중 임기 첫해인 2022년 경축사에서만 과거사를 언급했는데 이 대통령이 3년 만에 과거사 문제를 다시 꺼낸 것이다.
하지만 이날 경축사에서도 일본을 향한 강도 높은 비판 메시지는 없었다. 오히려 일본을 “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이자 경제 발전에 있어 떼 놓고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동반자”로 규정하면서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에 무게를 뒀다. 이는 이 대통령이 23일 있을 일본 방문을 일주일가량 앞둔 만큼 부정적인 언급을 자제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양자 회담까지 우호적인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60년 전 한일 국교 정상화 당시 양국 국민 간 왕래는 1만여 명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연간 1200만 인적 교류의 시대에 진입했다”며 “양국의 신뢰가 두터워질수록 협력의 질도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 대통령이 양국 관계에서 풀지 못한 과거사 문제를 위해 정부에서 어떤 노력을 할 것이고 미래 세대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을 최대한 자제한 것으로 보인다”며 “한미 관세 협상 등 대외 리스크가 큰 상황에서 일본과의 갈등을 전면에 부각시키기 부담스럽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