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심전도 감시 보험수가 획득
기존 시스템 대비 경제성·편의성 높여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씽크의 경쟁력은 고가의 장비, 복잡한 시스템이라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술의 고도화와 국산화로 경제성과 서비스 질을 높였다는 점입니다."
조영하 대웅제약 마케팅 사업부장은 3일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에서 열린 '씽크(thynC) 국내 최초 심전도 감시 보험수가 획득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씽크는 웨어러블 의료기기와 의료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시간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이를 병상에 도입하면 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인공지능 웨어러블 진단기기를 통해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편의성을 갖췄으며 비대면 진단이 가능하다. 기존 유선 기반의 모니터링 방식 대비 환자 관리 공백 개선, 의료진 편의 향상 등의 장점도 있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3월 씽크를 개발한 '씨어스테크놀로지(씨어스)'와 씽크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씨어스는 제조·생산 및 기술지원을 맡는다.
씽크는 최근 국내 실시간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최초로 심전도 감시 보험수가(EX871)을 획득하며 기술력과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 외에 경피적 혈액산소포화도 측정, 심전도 침상감지, 24시간 혈압측정검사에 대한 보험수가를 획득한 상태다.
대웅제약은 씽크의 보험수가 획득을 계기로 올 상반기 안에 스카이랩스의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를 씽크에 연동시킬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이영신 씨어크테크놀로지 대표는 "씽크는 특히 심정지, 패혈증, 낙상 등을 감지하고 조기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즉각 대응이 가능해 환자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며 "현재 전공의와 간호사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의료 현장의 효율성과 환자 관리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특히 씽크가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이 의료시장에 안착하기 위해 갖춰야 할 ▲임상적 유효성 ▲사용자 편의성 향상 ▲병원 ROI(투자 대비 수익률)를 모두 확보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임홍의 중앙대광명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의료 현장에서의 씽크 활용 사례와 기존에 사용하던 시스템인 필립스의 '텔레메트리'와의 비교 임상 결과를 소개했다. 임상은 부정맥을 얼마나 잘 감지하는 지와 두 시스템 간 심장 박동수 차이는 없는 지 등을 확인하고자 이뤄졌다. 특히 신호의 잡음 정도를 비교하는 데 집중했다.
임 교수는 "씽크의 신호 품질은 텔레메트리보다 좋았고, 신호 잡음과 손실 비율이 크게 감소한 부분을 확인했다"며 "특히 환자에게 부착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게도 10g이 채 되지 않아 가볍다"고 말했다.
이어 "텔레메트리는 특정 장소에 가야 모니터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는 물리적 제한이 있는 반면 씽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환자를 관리하고 이상 징후를 확인할 수 있어 환자에게 큰 이익을 줄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고 평가했다.
대웅제약과 씨어스는 2026년까지 씽크를 3000개 병상에 도입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씽크의 국내 유통을 시작하면서 60억 규모의 매출을 발생시켰고, 올해는 두 배 이상의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최근 상급병원을 넘어 씽크를 도입하고 있는 준종합병원도 늘고 있는 추세다.
조 부장은 "현재 씽크는 10개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상급종합병원뿐만 아니라 준종합병원까지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심장내과・신경과・호흡기내과・외과・응급의학과・암병동 등 다양한 진료과에서 입원 환자의 건강 관리를 최적화하고 의료진은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웅제약은 앞으로 더 많은 국민들이 효율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디지털헬스케어 혁신 기기를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등이 있다.
모비케어는 국내 웨어러블 심전도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며 전국 840여 개, 카트비피는 발매 4개월 만에 1200여 개의 병의원에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