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尹 교육정책, 추진 과정이 문제…조기 영어교육은 지양해야"

2025-09-02

2일 국회 교육위 교육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타당한 내용도 국민적 합의, 설득 거치지 못했다"

유아 조기 영어교육에는 "아동학대…초3 시작도 충분"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윤석열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정책 자체보다는 국민적 합의와 설득 부족 등 추진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진단했다.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국회 교육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장관으로 지명되면 윤석열 정권 3년 동안 무너진 교육을 6개월 안에 바로잡는 과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후보자에게 "윤석열 정부의 교육정책 중 가장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것을 든다면 무엇이냐"라고 물었다.

최 후보자는 "정책 자체보다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잘못들이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교육정책은 굉장히 상세하게 합의 과정을 거쳐서 추진해야 하는데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의대정원 확대 등 매우 타당한 내용임에도 추진 과정에서 국민적 합의와 설득 과정을 거치지 못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잘못된 것은 최대한 살펴서 바로잡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국가인권위원회 권고로 더욱 뜨거운 감자가 된 영유아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해서는 "유아들에게 우리말이 인식되기 전에, 너무 조기에 외국어를 가르치는 일은 줄여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 후보자는 "국가교육과정 전체를 볼 때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를 해도 충분히 국제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며 "(세종시교육감 재직 당시) 유아들에 대한 영어, 외국어 교육 자체가 아동학대일 수 있다고 판단해서 국립단설유치원에서 영어 수업 또는 방과후 학기를 일체 못하게 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는 반발이 있었지만 실제로 다 같이 안 하게 되니까 학부모들이 굉장히 좋아하셨고 놀이 중심 교육과정으로 바뀌어 아이들이 굉장히 건강해졌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인권위 아동권리위원회는 지난달 25일 극단적 형태의 조기 사교육 해소와 아동의 건강권과 발달권을 누릴 수 있도록 교육부 장관에게 선행 사교육 제한 법령이나 지침 마련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jane9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