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7월 중국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샤오훙수’에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전 회장이 자전거를 타고 항저우 서호를 달리는 동영상이 올라왔다. ‘마윈이 돌아왔다’ ‘알리바바는 역시 마윈이 있어야 한다’는 댓글이 달리며 빠른 속도로 공유됐다. 마 전 회장은 2020년 10월 공개 석상에서 중국의 금융 규제를 비판했다가 한동안 자취를 감췄고 그사이 알리바바도 부침을 겪었다.
최근 기자가 찾은 알리바바 본사에는 마윈이 1999년 알리바바를 창업할 당시 사용했던 아파트를 완벽히 복원한 공간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글로벌 본사가 위치한 C구역이 개장한 지난해 5월 방문 당시만 해도 없던 시설이다. 18명의 창업 동료들과 함께 밤낮으로 일하며 바닥에서 잠을 자고 화장실 앞에서 줄을 서던 열악한 환경 속에도 혁신을 이끌어냈던 당시 모습을 재현했다. 알리바바 관계자는 “창업 정신을 상기시키고 직원들의 혁신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올 5월 문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사무실 벽면에 마윈이 직접 쓴 ‘발전은 철칙이다(發展是硬道理)’라는 글은 직원들의 연구개발(R&D) 역량를 고취시키는 원동력이라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최근 알리바바는 인공지능(AI) 시대로의 변화에 발맞춰 대대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알리바바는 클라우드와 AI를 두 축으로 삼고 전자상거래·클라우드·금융·물류 등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는 AI 전문 기업으로 변신하겠다고 선언했다.

리량 매니저는 “항저우는 기존 ‘전자상거래의 수도’에서 AI 산업의 중심지로 급변하고 있다”며 “알리바바뿐 아니라 중국을 선도하는 주요 AI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알리바바는 2017년부터 AI 투자를 시작해 2022년 AI 모델 ‘큐원(Qwen)’을 발표했으며 앞으로 3년간 3800억 위안(약 77조 원)을 AI 기초 시설과 응용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들어 AI 기술을 접목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알리바바가 24일 내놓은 ‘쿼크 AI 안경’은 ‘큐원’과 AI 비서 ‘쿼크(Quark)’를 접목한 스마트안경으로 메타의 동급 사양 제품보다도 가격을 크게 낮췄다. 알리바바는 AI 학습 모델 큐원3 기반의 AI 챗봇(대화 로봇)도 공개했다. 전 세계 생성형 AI 시장을 선도하는 오픈AI의 챗GPT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더 나아가 생성형 AI 서비스를 오픈소스로 공개해 서포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 이를 활용하는 중국 기업들과의 협업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일례로 알리바바의 온라인 쇼핑몰인 타오바오를 봐도 매일 10만 명 이상의 판매자가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고 있고 AI가 최적화한 상품 전환율이 52%, AI가 응대하는 고객 수가 36%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정부가 2027년 70%, 2030년 90%의 기업이 AI를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에 따라 알리바바는 이를 지원하는 핵심 축 역할을 담당하겠다는 방침이다.



![[팩플] 선진국은 다 먹었다... 제3국으로 눈 돌리는 AI 기업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4/05d3be0a-0ad2-45a2-a842-339645c342c6.jpg)
![[헬로즈업] 라인스캔 한계 넘은 바이렉스, 초고해상도 CIS 공개](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043/art_17612214611676_25e76e.jpg?iqs=0.2258469062188605)


![[전문가 칼럼] 황성필 변리사의 스타트업 이야기 - 피치라이프사이언스](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420757821_03ed2b.jpg)
![[글로벌NOW] AI와 반도체, 그리고 자율주행…세계 산업의 축 움직이나](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043/art_17613715725893_a5ed57.jpg?iqs=0.84650461954239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