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활동 일체 불가...제련부문 매출 저하 가속화 전망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고려아연과 경영권 분쟁 중인 영풍이 운영하는 석포제련소가 이번 주부터 58일 간의 조업정지에 돌입하게 된다. 환경당국의 행정 처분으로 해당 기간 아연괴 생산 등 조업 활동을 일체 할 수 없다.
이에 업계에서는 영풍이 지난해에 이어 부진한 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환경오염 문제 등을 둘러싸고 경상북도 등 지역 사회 여론도 악화되며 영풍 오너 일가와 현 경영진이 적극적으로 경영정상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6일부터 영풍 석포제련소의 조업이 중단된다. 앞서 지난해 12월 환경부와 경상북도는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해 2025년 2월 26일부터 4월 24일까지 58일간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내렸다. 석포제련소는 이번 조업 정지 기간 중 아연정광을 공정에 투입해 아연괴를 생산하는 등의 조업활동을 일체 할 수 없다.
영풍 석포제련소에 조업정지 행정처분이 내려진 건 2019년 물환경보전법 위반을 놓고 대법원에서 확정 판결을 했기 때문이다. 폐수를 무단으로 배출하고 무허가 배관을 설치하는 등 불법 행위를 저지른 점이 제재의 배경이었다.
업계에서는 영풍 석포제련소가 조업정지 이후 재가동 준비까지 고려하면 4개월 가량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거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영풍의 제련 부문 매출 저하도 불가필 할 전망이다.
지난해 1~9월 영풍의 제련 부문 매출은 8187억원으로 2023년 같은 기간 1조1949억원 대비 31.5%(3762억원) 줄었다. 연초 58일간의 조업 정지에 따라 올해 영풍 제련 부문 매출은 작년보다도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지난달 고려아연 임시주총을 앞두고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 역시 연이은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지난 1월 글래스루이스는 보고서를 통해 "영풍의 과거 기록과 기업 경영자로서 신뢰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영풍은 상당한 비판을 받아왔으며 환경법 위반, 사업장 안전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많았다"고 했다.
서스틴베스트는 "강성두 영풍 사장이 재직 중인 영풍의 재무성과와 지속가능경영 성과는 저조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소액주주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 운영사 컨두잇은 올 1월 영풍에 주주 서한을 보내 "최근 몇 년 간의 부진한 사업성과는 많은 주주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며 "국내외 동종업계 경쟁사들과 비교해 보아도 저조한 실적"이라고 비판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