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중국산 후판 관세 부과에 원가 상승 우려…호황기에 제동 걸리나

2025-02-24

산업부,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

조선용 후판, 선박 건조 비용의 20~30% 차지해

후판 가격 오르면 조선사들 영업익 대부분 상쇄할 수도

중국과의 선박 가격 경쟁에서도 뒤처질 것이란 우려 나와

[녹색경제신문 = 정창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산 후판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의 원가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후판은 선박 건조에 필수적인 두꺼운 철판으로, 선박 건조 비용의 20~30%를 차지하는 핵심 자재다. 이에 따라 조선사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영업이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최근 산업부는 중국산 후판이 국내 시장에서 저가로 공급되며 국내 철강업체들의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고 판단,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중국산 후판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졌으며, 이를 주로 사용해온 조선업체들의 비용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후판 가격 인상이 조선사들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재 조선업 호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영업이익 대부분이 상쇄될 수 있다”며 “특히 후판 가격은 선박 건조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 조선업계의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이다. 한국 조선사들은 세계 조선 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하고 있는데, 후판 가격 상승이 선박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국 조선소들은 자국 내 후판을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우위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업계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국내 철강업체들과의 협의를 통해 안정적인 가격 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일부 조선사들은 국내 후판 업체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가격 변동성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국내 철강산업과 조선업이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산업계 연구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원가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철강업체와 조선업체가 공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도 국내 조선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져 온 국내 철강업계와 조선업계 간의 후판 가격 협상은 해가 바뀐 지금까지 결론이 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커질 때마다 조선업계가 큰 타격을 받는다”며 “안정적인 원자재 공급망을 구축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정창현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