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 2025]“미래 기술, 손끝에서 속삭이다”…디지털혁신관

2025-04-24

참관객이 손가락에 낀 반지에 조용히 말을 건네자, 인공지능(AI)이 즉각 반응하며 대화를 이어갔다. 주변이 소란스러운 전시장에서도 오직 속삭임만을 인식한 '위즈퍼링'은 별도의 호출어 없이도 자연스럽게 AI와 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된 '브이터치'의 웨어러블 반지다.

과학기술정통신부가 마련한 월드IT쇼(WIS) 2025 디지털혁신관에서는 다양한 미래 혁신 기술로 무장한 20개 중소·스타트업을 만나볼 수 있다. CES 혁신상 수상 등으로 주목받으며,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을 세계 무대에 선보여 성장 잠재력을 입증한 유망 기업이다.

브이터치는 '위즈퍼링'을 통해 CES 혁신상을 2년 연속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번 WIS 현장에서도 '위즈퍼링' 체험관을 운영하며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호출어 없이 속삭임만으로 작동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특히 주목을 받았다.

김석중 브이터치 대표는 “AI와의 대화를 스마트폰 없이, 언제 어디서든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위즈퍼링의 핵심”이라며 “위즈퍼링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의 기기에 근접 음성인식 기술을 확장 적용해 글로벌 AI 웨어러블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스튜디오랩은 생성형 AI 기반 상세페이지 자동 제작 서비스 '젠시'와 지능형 로보틱스 촬영 솔루션 '젠시PB'를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다. 스튜디오랩은 이번 WIS 현장에서 텍스트 스타일 자동 추천 기능 'AI탭'이 추가된 '젠시' 최신 버전과 다양한 문장 스타일 생성 시연을 공개했다. 일반인을 위한 로봇 촬영 체험존도 운영했다.

헤드셋 없는 확장현실(XR) 체험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 뉴작도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뉴작은 체감형 메타버스 플랫폼 '엑스러너'를 통해, 헤드셋 없이도 몰입 가능한 XR 경험을 제공했다.

정해현 뉴작 대표는 “별도의 장비 착용 없이 현실 공간을 걸으며 넓은 가상세계를 체험할 수 있으며, 어지럼증이나 시야 제한 등 기존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기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월드IT쇼를 통해 북미와 유럽 중심의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