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미국이 오는 29일부터 국제우편물에 대한 관세 부과 정책을 전격 시행하면서, 전 세계 물류 시스템이 마비되고 있다.
그동안 800달러(약 111만원) 이하 소액 물품에 관세를 면제해왔던 미국이 서류를 제외한 모든 국제우편물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기존 우편망으로는 바뀐 절차를 처리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각국이 미국행 우편물 발송을 잇따라 중단하고 있다.
세계 최대 물류 기업인 독일 DHL은 이미 22일부터 미국행 소포 발송을 일시 중지했다. "앞으로 세관에서 관세를 징수하는 방법과 주체 등이 명확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영국 로열 메일 역시 시스템 미비를 이유로 편지를 제외한 물품 발송을 일시 중단했다.
이외에도 프랑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와 싱가포르와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도 미국으로의 배송을 중단했다.
우리나라 우정사업본부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이러한 국제적 혼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25일부터 미국행 항공소포 접수를 중단한 데 이어, 26일부터는 국제특급우편(EMS) 접수도 받지 않는다.
다만, 서류나 편지 등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닌 우편물과 수취인이 관세를 내는 민간 특송사(UPS)의 'EMS 프리미엄' 서비스는 발송이 가능하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미국으로 가는 모든 물품을 신고하는 관세를 내는 건 현재 국제 우편망으로는 처리할 수 없어 서비스를 일시 중지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EMS 프리미엄은 일반 우체국 EMS보다 배송료가 10%가량 비싸고, 김치 등 식품류나 고가 물품은 취급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미국에 있는 자녀에게 김치를 보내던 학부모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으며, K팝 관련 '역직구' 업체들도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됐다.
미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최근 10배 이상 폭증한 소액 소포 물량을 통제하고, 불법 마약류 및 위조품의 유입을 막기 위함이다.
최진희 서울지방우정청 국제영업과장은 "미국의 승인을 받은 관세 대납업체와 연계를 추진하는 등 1∼2달 이내 기존과 유사한 품질과 가격으로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핵심 시스템이 완전히 구축되기 전까지는 국제 우편 서비스의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