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56종 훈장(勳章) 중 최고훈장은 ‘무궁화대훈장’이다. ‘대통령과 배우자, 우방원수 및 배우자 또는 나라 발전과 안전보장에 공적이 뚜렷한 전직 우방원수 및 배우자’(상훈법 10조)에게만 주어진다. 공적을 따진 것이라기보다 상징적 ‘영예’에 방점이 찍힌다. 그 때문에 논란이 끊이지 않은 훈장이기도 하다.
대표적 논란이 12·12 군사반란 우두머리인 전두환·노태우였다. 2006년 노무현 정부는 두 사람의 20개 훈장 서훈을 취소하면서도 무궁화대훈장은 그냥 뒀다. 취소할 경우 대통령 재임 자체를 부정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이 때문에 영화 <서울의 봄>이 흥행한 2023년 이들의 무궁화대훈장 박탈을 촉구하는 10만인 서명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첫 수훈자 이승만부터 역대 대통령이 무궁화대훈장을 받았지만, 탄핵으로 파면된 윤석열만 못 받았다. 취임과 함께 수훈한 박근혜 전 대통령도 탄핵 파면 후 ‘공적 평가’ 논란이 비등했다. 그 후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윤석열은 임기 말로 미뤘던 것인데, 윤석열은 중도 파면돼 자격을 잃었다.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은 지지율이 낮은 임기 말에 국무회의 의결로 받다보니 ‘셀프 수훈’ 시비도 뒤따랐다.
이재명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방한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무궁화대훈장 수여를 검토 중이라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달러 대미 ‘선불 투자’ 압박과 동맹도 무시하는 잇단 언행을 감안하면 다소 의아한 풍경이다. 훈장으로라도 트럼프라는 고래를 움직여보고 싶은 속내일 것이다.
실제 외교 수단으로 무궁화대훈장은 외교적 의미가 강한 영국 대영제국훈장이나 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에 비견되기도 한다. 외국 정상·배우자 90여명이 받은 무궁화대훈장 첫 수훈자는 1964년 하인리히 뤼브케 서독 대통령이었다. 광부·간호사 ‘파독’ 당시 한국에 1억4000만마르크 차관을 제공한 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궁화대훈장을 받게 된다면, 한반도 ‘피스 메이커’와 경제·안보 동맹의 강력한 우군이 돼달라는 한국민 뜻을 잘 알았으면 한다. 금만 190돈 들어가는 최고훈장이 ‘고래를 춤추게 하는 칭찬’이 될 수 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