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연봉 35% 낮아 불리

2025-05-19

동일 조건 기혼 남녀 소득 격차

월 평균 1600불…연 2만불 달해

엄마, 출산·양육으로 경력 단절

아빠는 임금 25% 올라 ‘보너스’

‘워킹맘’의 경력과 수입이 결혼과 출산을 기점으로 크게 꺾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금융정보업체 뱅크레이트가 센서스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녀가 있는 풀타임 근무 여성의 평균 연봉은 같은 조건의 남성보다 약 3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격차가 유지될 경우, 여성은 향후 30년간 약 59만 달러의 수입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를 ‘엄마의 불이익(Motherhood Penalty)’이라고 부르며 대책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워킹맘의 연봉은 평균 5만6680달러지만, 같은 조건의 기혼 남성은 약 7만6388달러로 월 1600달러, 연 1만9700달러의 격차가 벌어진다.

반면 자녀가 있는 남성은 오히려 자녀가 없는 남성보다 평균 연봉이 높아지는 ‘아빠의 보너스(Fatherhood Bonus)’ 현상도 나타났다. 자녀가 없는 기혼 남성의 평균 연봉은 6만1308달러로 ‘워킹 대드’의 평균 연봉보다 25%나 낮았다. 자녀를 둔 남성은 ‘가정을 책임지는 가장’이라는 사회적 인식 아래 오히려 임금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뱅크레이트는 여성의 학력과 노동시장 참여가 증가했음에도 출산 이후 수입과 승진 기회에서 불이익을 받는 구조는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워킹맘이 불이익을 받는 근본 원인을 여성에게 집중된 가사노동과 육아 책임에서 찾는다. 럿거스대 여성노동센터 야라 로저스 교수는 “많은 여성이 자녀 출산 이후 유연성을 찾아 비정규직, 파트타임, 혹은 저임금 직종으로 이동한다”며 “가정 내 불균형이 결국 여성의 경력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가사노동과 육아를 여성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시선은 여전하다. 퓨 리서치에 따르면 맞벌이 가정에서도 여성이 더 많은 가사와 육아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승진과 경력개발 기회를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자녀가 있는 여성은 더 짧은 시간 일하거나, 경력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2015년 첫 아이를 낳은 뒤 육아와 커리어 사이에서 고심해온 공인회계사(CPA) 케이티 토마스는 결국 창업을 했다. 그는 “하루에 아이를 1시간밖에 못 보면서 일주일 70시간 넘게 일하는 삶은 버틸 수 없었다”며 “가족과 시간을 더 보내기 위해 커리어의 방향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아이를 돌보기 위해서 경력의 손해를 보는 여성의 전형적 사례다.

경제적 불이익은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뱅크레이트의 올해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녀가 있는 여성의 30%는 양육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이는 같은 조건의 남성(22%)보다 높았다.

전문가들은 가정과 직장에서의 성 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과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여성의 커리어를 위협하는 육아 부담이 더는 개인의 문제로 치부돼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조원희 기자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