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지역 산사태 위험 최대 200배”···산불은 껐지만 2차 피해 우려

2025-04-01

산림과학원 “그물효과 등 사라져 토사유출”

유출된 토사 하천 퇴적으로 홍수 위험도 증가

영남지역 대형산불로 산림이 초토화되면서 올 여름철 폭우에 따른 산사태·홍수 등 2차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산불 피해지의 산사태 발생 비율은 일반 산림보다 최대 200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도 있다.

1일 행정안전부 집계를 보면 최근 울산 울주와 경남 산청·하동, 경북 5개 시군에서 발생했던 산불의 전체 영향구역은 약 4만8000㏊다. 이들 지역에서만 열흘(3월 21∼30일) 동안 서울 전체 면적(약 6만ha)의 약 80%에 이르는 지역이 산불영향구역에 들었다.

그만큼 산림 피해도 심각하지만 향후 산사태 위험 증가 등 2차 피해 우려가 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05년 산불이 발생한 전북 남원 피해 지역을 5년 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산불 피해지에서 산사태 발생 비율이 200배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에 따르면 산림은 나뭇잎에 의한 ‘우산 효과’와 나무 뿌리가 암반층까지 파고 들어 뿌리가 서로 얽혀 그물망을 형성해 흙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말뚝 효과’, ‘그물 효과’로 산사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산불로 숲이 훼손되면 나무 뿌리가 토양을 붙잡는 힘이 떨어져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 토양이 쉽게 무너져 내릴 위험이 있다. 산불 피해지에서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약해져 빗물이 흙에 스며들지 못하고 지표면으로 곧장 흘러 많은 양의 토사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산불 발생 후 2년 경과 시점까지 일반 산림에 비해 3∼4배 높은 토사유출이 관측됐다. 산림과학원은 2020년 연구에서는 “나무와 식생이 풍부한 숲이 훼손된 숲보다 약 85배 높은 토사유출 방지효과가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토사유출은 산사태뿐 아니라 홍수 위험도 증가 시킨다.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지역 토사유출은 빗물의 토양침식을 심화시키고, 이렇게 유출된 토사는 인근 하천에 퇴적돼 호우 시 홍수위 증가로 홍수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산림당국은 이 같은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전날 울산, 경북, 경남에서 산불 피해를 입은 8개 시군에 ‘피해지 긴급진담팀’을 파견했다. 산사태 발생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긴급 진단을 실시하고, 지자체와 함께 위험도에 따른 복구계획을 수립해 2차 피해를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불 피해지는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발생 위험이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피해지역 내 생활권을 중심으로 위성영상과 드론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정밀 조사를 진행해 2차 피해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