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변동은 불규칙하고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가 『경제학 원리』에 썼다.
맨큐는 아직 소수파다. 경제학자 다수는 경제 예측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고 여러 세대에 경제학원론을 제공한 폴 새뮤얼슨이 무망한 꿈의 기초를 제공했다. 그는 『경제학』에서 경제학자가 비경제학자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제전망에서 과학의 요소가 더 커지리라는 희망을 피력했다.
경제성장률 등 지표를 맞히는 일이 왜 불가능한가. 우선 모델 밖에서 주어지는 외생변수가 너무 많고, 예상하지 못한 외생변수가 종종 새로 끼어든다. 더구나 경제주체의 심리와 행동이 상호작용하면서 경제에 나타나는 변화에는 시나리오대로 흘러가는 게 한 줄도 없다.
경제전망 중 ‘허(虛)’는 수치이고, ‘실(實)’은 변수와 대응이다. 수치는 경제주체가 참고하는 정도의 용도로 의미가 있다. 연구기관은 수치보다는 어떤 주요 변수에 어느 경제주체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더 중점을 둬야 한다. 환자에게 “이대로 지내면 혈압이 위험한 수준으로 치닫는다”고 말해서 맞히는 의사보다 “고혈압약을 복용할 때”라고 처방하는 의사가 용한 것처럼.
한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0.1%로 발표됐다. 앞서 한국은행이 내놓은 전망치 0.5%보다 한참 낮았다. 그러자 한은의 분석력을 비판하는 말이 많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말 국정감사에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전망치 오차가 크게 나쁘지는 않다고 해명했다. 공방 모두 정확한 전망이 가능하다는 틀린 전제 아래 서 있다.
증권사 분석자료처럼 경제전망 보고서 앞에 이렇게 고지하면 어떨까. ‘이 보고서는 참고용이며, 한국은행은 이 보고서 내 지표 예측의 정확성을 주장하지 않는다’고. 주기적으로 되풀이되는 무의미한 논쟁을 줄이는 방법이다.
백우진 경제칼럼니스트·글쟁이㈜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