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7명 “작년보다 에어컨 더 사용”…바뀌는 절전 인식

2025-09-02

역대급 불볕더위를 기록한 올여름 시민 10명 중 7명은 지난해보다 에어컨을 더 사용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장 조사 전문 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2일 발표한 ‘2025 하절기 전기 요금 인상 관련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68.9%가 지난해보다 에어컨을 조금 더 사용한 것 같다고 답했다. 여름철 집에 있을 때는 에어컨을 자주 켠다고 답한 이들도 68.0%를 차지했다.

전기 요금 절감 방법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었다. 응답자의 57.4%가 요금 절감을 위해 정보를 탐색해봤다고 답했다. 실천한 방법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방 조명 소등(66.3%·중복응답)이 가장 많았고, 실내 온도를 조절(59.0%), 미사용 가전제품 플러그 빼놓기(55.6%)가 뒤를 이었다.

특히 가전제품을 사용하더라도 적정 온도로 조절하는 이들의 비중은 59.0%로 지난해(49.1%)보다 9.9%포인트 높아졌다.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이 높은 가전제품을 활용한다는 응답 비중도 47.5%로 지난해(41.9%)보다 5.6%포인트 상승했다. 응답자 77.1%는 초기 구매 비용이 높아도 장기적으로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 절약보다 일상의 만족과 쾌적한 환경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무조건적인 절약보다는 ‘에너지 절약’과 ‘쾌적한 생활’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을 보다 중요하다는 이들이 89.7%에 달했다. 전기요금 절약과 생활의 질 중 생활의 질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이들은 52.6%, 전기요금 절약이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이들이 14.7%였다.

에너지 자원이 부족함에도 일상에서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는 응답률도 71.1%로 지난해(65.3%)보다 5.8%포인트 상승했다. 국가 차원에서 에너지 소비 절약 습관 생활화를 위한 정책, 캠페인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응답은 79.0%에 달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무조건적인 전기 요금을 절약하기보다는 ‘생활의 질’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인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라며 “삶의 질을 중시하면서도 과도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으로, 향후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 문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