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로 바친 개”…경주 월성서 신라 모체 사로국 흔적 첫 확인

2024-10-02

경주 월성(月城) 안에서 신라의 모체가 된 사로국(斯盧國) 시대 거주 흔적이 처음 확인됐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경주 월성 A지구 서남쪽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사로국 시기에 해당하는 3세기 전∼중엽의 취락 양상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사로국은 초기국가시대 진한(辰韓)의 12국 중 하나다.

이번에 사로국 시기의 거주 흔적이 확인된 곳은 월성 서남쪽 가장자리, 월정교 부근으로 남천에 접한 연약지반에 모래층이 퇴적된 지형이다.

발굴조사를 통해 이 일대에는 3세기 전~중엽에 이런 취약한 대지에 취락을 조성하기 위해 1.5m 높이에 가까운 성토 작업이 행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소는 “벼의 겉껍질, 식물 종자, 조개껍데기 등이 섞인 유기 물질을 공정별로 다르게 사용해서 약 1.5m 높이로 흙을 견고하게 하는 작업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모래땅을 다져 취락, 즉 생활 근거지로 조성하는 건 만만치 않은 일로 여겨진다.

연구소 관계자는 “월성의 성벽은 4세기 중·후엽에 쌓은 것으로 보는데, 그보다 100여 년 앞선 시점에 막대한 인력과 물자가 동원되는 작업이 이미 진행된 셈”이라고 말했다.

취락으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의례를 거행한 흔적을 보여주는 유구도 나왔다. 나무 기둥을 세워 만든 것으로 보이는 유구는 직경이 6m 정도 되는 원형 구조였으며, 의례를 마친 뒤에 불을 질러 태웠다고 추정된다.

유구 안에는 종류별로 2~3점씩 짝을 맞춘 토기 15점이 출토됐다. 그 토기 위로 황색 안료가 발린 마작물이 감싼 흔적이 확인됐다.

개를 의례 제물로 바친 정황도 확인했는데, 이는 비슷한 시기에 유례가 없어 연구소는 특히 주목하고 있다.

연구소 측은 “비슷한 시기에 개를 의례 제물로 바친 정황은 발견된 사례가 없다”며 “어떤 목적에서 개를 희생시켜 의례를 지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성벽을 쌓은 시기보다 100여 년 앞선 때에 대대적인 공사를 거쳐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자취가 나온 만큼 이번 조사 결과는 향후 월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연구소는 7일 오후 월성 A지구 발굴 현장에서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이어 8일에는 경주 힐튼호텔에서 이번 조사 성과를 논의하는 학술 토론회를 개최한다.

경주 월성은 신라 궁궐이 있었던 도성을 뜻한다.

전반적인 형태가 달을 닮았다는 이유로 ‘월성’이라고 불렀으며, 조선시대에는 ‘반월성’(半月城)이라 칭하기도 했다. 왕이 계신 성이라 해 ‘재성’(在城)이라고도 했다.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됐으며, 서쪽부터 A∼D 지역으로 나눠 조사 중이다.

연구소는 앞서 서쪽 성벽 발굴 조사 성과를 공개하면서 성벽이 4세기 중엽에 쌓기 시작해 5세기 초반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장 설명회와 학술 토론회는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