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리인하 지연 속 시중 유동자금이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 몰리는 가운데, 코스피지수가 지난 27일 사상 첫 4000을 넘어서며 '꿈의 사천피(코스피 4000)' 시대를 열었다. 이를 계기로 저위험을 선호하는 안정지향형 재테크족 마저 2%대 금리의 은행 예금에 회의감을 표하고 있다.
이 가운데 코스피 지수에 연동해 지수 상승률에 따라 금리가 결정되는 은행 지수연동예금(ELD) 상품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원금을 보장해주는 동시에 기대수익률도 가입자에 따라 최고 10%대를 보장받을 수 있는데, 10월 누적 판매액은 이미 지난해 연간실적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시중은행의 ELD 상품 판매액은 이달 23일까지 누적 8조 8341억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 판매액을 경신했다. 5대 은행은 지난해 연 7조 3733억원의 ELD 판매액을 기록했는데, 이미 전년 대비 1조 5000억원 이상의 판매고를 추가로 올린 셈이다. 연말까지 2개월 이상 남았다는 점에서 이 같은 실적은 눈길을 끈다. 5대 은행의 ELD 판매액은 지난 2022년 1조 7751억원, 이듬해 2조 2303억원 등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시중 유동자금을 뜻하는 '은행 요구불예금'의 흐름에 견줘 매우 대조적이다. 5대 은행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은 지난 23일 기준 649조 5330억원을 기록해 지난달 말 669조 7238억원 대비 약 20조 1908억원 급감했다. 하루 평균 약 8779억원씩 인출된 셈인데, 지난해 7월 29조 1395억원 감소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추세대로라면 이달 말까지 약 27조원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전반적인 수신자금 급감에도 불구, ELD가 흥행하는 건 원금보장과 높은 수익률을 누릴 수 있는 까닭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ELD는 만기유지 시 원금과 최소 약정 이자는 보장받으면서도 지수 변동에 따라 높은 추가 수익률을 누릴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고객이 맡긴 예금(원금)은 채권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예금을 통해 확보한 이자 일부를 증권사가 발행하는 주가지수연계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구조다.
대표적으로 신한은행이 판매 중인 '세이프지수연동예금 KOSPI200 상승형 25-24호(1년)'은 원금을 보장해주면서도 기준가격(11월6일 코스피200 종가) 대비 장중 15%를 초과 상승한 적이 없고, 만기가격(2026년 11월3일 코스피200 종가)이 기준가격 대비 상승했을 시, 만기가격에 따라 최고 연 10.65%의 수익률을 제공한다. 다만 기준가격이 장중 15%를 초과 상승한 적이 있으면 연 1.00%의 수익률로 확정된다.
하나은행의 '지수플러스 정기예금 고수익추구형 25-20호(1년)'도 만기해지 시 원금은 보장하면서 코스피200 종가의 변동에 따라 이자수익을 연 1.75~6.55% 제공한다. 기준지수(10월 29일 코스피200 종가)를 기준으로 결정지수(내년 10월 26일 코스피200 종가) 대비 상승률에 따라 수익률이 확정되며, 결정지수 확정일(만기 3영업일전)까지 한번이라도 기준지수 대비 20% 미만으로 상승한 경우 최고 6.55%의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기준지수 대비 한 번이라도 20% 초과 상승한 경우 연 1.75%의 수익만 제공한다. 결정지수가 기준지수 대비 같거나 하락해도 연 1.75%만 제공된다.
최고 수익률을 놓고 보면 5대 은행이 시판 중인 정기예금의 1년 수익률을 크게 상회한다. 이날 각사 공시에 따르면 자사 대표 정기예금 상품(△KB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 △우리은행 'WON플러스 예금' △NH농협은행 'NH올원e예금')의 1년 만기 예금금리는 일괄 연 2.60%를 기록 중이다.
이에 '고위험 고수익'의 주식과 '초저위험 저수익'의 예금에서 각각의 장점을 추려내, 위험도가 낮으면서도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 게 은행 ELD의 매력으로 꼽힌다. 다만 증시가 고점에 도달했거나 가파른 상승 국면 초입에 투자할 경우 1년 간 1%대의 이자수익만 거두게 된다는 점에서 오히려 잘못된 투자가 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또 ELD 상품은 중도해지 할 경우 이자가 지급되지 않고, 파생상품 매입비용 등으로 인해 중도해지수수료도 발생해 오히려 원금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한 은행 관계자는 "최근 코스피 호황을 계기로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희망하면서 원금도 보장되길 희망하는 재테크족이 ELD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주가 향방에 따라 기대수익률이 최저를 기록할 수도 있고, 중도해지 시 원금 일부 손실이 불가피한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4분기에도 은행 대출 문턱 넘기 어렵다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QY45ES_1.jpg)
!["서학개미 배당 달달하네" 3분기 누적 2.4兆…작년보다 2배 '껑충'[인베스팅 인사이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7S4C2U_1.png)
![1800조 빨아들인 블랙스톤…순이익은 21% 줄어[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0/27/2GZCB16U1L_1.jpg)
![[GAM] '올해 134% 급등' 갤럭시디지털, CB '찬물'에 10% 털썩](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0747262950.jpg)
![[GAM] '서학개미 픽' NCLH ①크루즈선사 '반토막' 표류, 역발상 나섰다](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우리銀, ‘올해 최대 규모’ 2.6조 인수 금융 주선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78API8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