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이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에 육박하는 전망치를 내놨다. 미국 관세 인상에도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 수출 호조가 이어지리라는 분석이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8곳이 제시한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달 말 평균 1.9%로 집계됐다.
씨티가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치를 대폭 높이면서 평균치가 한 달 전인 9월 말(1.8%)보다 0.1%포인트(p) 높아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1.6%)를 제외하면 나머지 IB 7곳은 한국은행이 지난 8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1.6%)보다 높은 수치를 내놨다. 씨티와 JP모건, 골드만삭스가 2.2%로 나란히 2%대 성장을 전망했다. 이밖에 노무라 1.9%, UBS 1.8%, 바클리 1.7% 등이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평균 1.0%로 유지된 만큼 향후 1년 사이 성장률이 배 가까이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IB들은 수출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IB 8곳이 제시한 내년 우리나라 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은 9월 말 평균 4.7%에서 지난달 말 평균 5.3%로 크게 높아졌다. 미국 관세 인상에도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세가 크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오는 27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할 계획이다.
정다은 기자 dandan@etnews.com
![[GAM]동절기 랠리에 오른 '중국 석탄주'② 기관의 투자전략 조언](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