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도 지원 종료했는데…경찰, 윈도우11 업데이트 '0대'

2025-11-25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의 운영체제(OS) 윈도우10 공식 지원이 종료된 가운데 경찰이 관리하는 컴퓨터 중 윈도우 11로 업데이트한 컴퓨터는 0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찰청과 서울·부산지방경찰청 등 지방경찰청, 경찰대학·중앙경찰학교·수사연구원 등 관련 기관에서 관리하는 컴퓨터 12만 1955대 중 윈도우11로 업데이트한 컴퓨터는 0대로 집계됐다. MS는 지난달 14일 윈도우10 지원을 공식 종료했다.

이는 윈도우11 환경에서 경찰청이 사용하는 데이터 손실 방지(DLP) 프로그램의 충돌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DLP는 기관의 민감한 데이터가 USB·외장하드 등 저장매체로 무분별하게 복사되면서 발생하는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기술이다.

문제는 윈도우 호환성 오류를 고치고 프로그램을 최신화하기 위한 DLP 고도화 사업이 예산 확보 과정에서 계속 후순위에 놓였다는 점이다. MS가 윈도우10 지원 종료 시점을 밝힌 것은 2023년이지만, 경찰청은 2년 넘게 DLP 고도화 사업 예산을 편성받지 못하다 올해 들어서야 20억 원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수사 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경찰이 OS 지원 종료로 보안이 취약해질 가능성을 과소평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찰은 우선 네트워크 중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망(외부망) 컴퓨터에 대해 다음달 초까지 윈도우10 장기서비스채널(LTSC)을 적용시키기로 했다. 이 버전을 사용하면 오는 2029년 1월까지 보안 패치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인터넷망과 분리된 업무망(내부망) 컴퓨터는 LTSC 설치가 어려워 내년 DLP 고도화가 진행되는 대로 윈도우11로 업데이트할 방침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업무망의 경우 인터넷과 단절된 채 다양한 보안 솔루션으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보안상 위험성은 적다”면서 “내년 초 DLP 고도화 사업에 빠르게 착수해 OS 업데이트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정현 의원은 “경찰청은 윈도우 10 지원 종료가 예고된 2년 동안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다가 이제서야 부랴부랴 대응 마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허술한 대응이 보안 사고로 이어질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