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현지 공장 증설은 최후의 수단으로 삼겠다고 시사했다.
또한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수용)가능한 측면에서 최대한 수용하겠다”고 언급했다.
25일 LG그룹 및 재계 등에 따르면 조주완 사장은 지난 24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전기·정보공학부 대상 특별 강연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당시 조주완 사장은 미국 관세 정책 대응 방안 등을 묻는 기자들 질문에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을)수용할 수 있는 만큼은 최대한 수용하겠다”면서도 “(관세 정책 대응을 위해)우선 생산지 변경이나 가격 인상 등 순차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추진할 것 같다. 미국 현지 생산 기지 건립은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9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10% 기본관세만 부과하고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조주완 사장의 해당 발언은 미국 정부의 10% 기본관세는 운영효율화 등을 통해 감내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만 미국 현지 생산시설 증설을 마지막 검토 대상으로 꼽은 것은 미국 현지 노동자의 고임금, 동남아 인력 대비 낮은 노동 효율성, 투자 여력 등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조주완 사장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효과는 2분기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1분기 ‘풀인 효과(관세 정책 전 사재기)’는 그렇게 크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시점에 대해서는 “오는 6월이 될지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크기에 향후 몇 개월 정도 지켜보려고 한다”며 “IPO를 통한 자금 확보만이 목적이 아니다. 주주 가치와 회사 가치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조주완 사장은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학생들에 대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뛰어난 제품과 앞선 기술도 중요하나 LG전자가 하는 모든 일의 본질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R&D 영역에서도 ‘제품’과 ‘기술’을 넘어 ‘경험’을 중심으로 고민해야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