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갑차 승무원·조종사 등 고위험군 일부에만 보급
일반 병사는 여전히 화상 취약 소재 전투복 착용 중
'2차 화상' 줄일 수 있는 '노멜트노드립' 전투복 연구 진행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2017년 K9 자주포 폭발 사고 등 군용 차내 화재로 7명이 화상을 입고, 그 중 3명이 사망한 지 8년이 지났다. 하지만 우리 군의 난연성 전투복 보급은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이 국방부 및 육·해·공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군에 보급된 난연성 전투복은 5만 명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급 현황을 보면 △육군 궤도차량승무원복 2만6000명 △해군 함상복 1만6000명, 비행복 700명 △공군 비행복 4300명 △해병대 궤도차량승무원복 2500명, 비행복 200명으로, 총 4만9700명에 불과했다.

전차·자주포·장갑차 승무원, 공군부대 조종사 등 고위험군 중심의 특수 보직에게만 난연성 전투복이 보급되고 있는 것으로, 전체 장병 규모를 고려할 때 극히 일부에게만 안전장비가 제공되고 있는 셈이다.
현재 육군 등 대다수 일반 장병들이 입는 전투복의 소재는 사계용이 폴리에스터 73%, 레이온 23%, 하계용이 폴리에스터 70%, 레이온 30% 혼방 소재로 구성돼 있어, 전시 전투복으로서의 난연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다. 폴리에스터 등 화학섬유는 불에 노출되면 녹아내리며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화상 피해를 가중시킨다. 실제로 2019년에는 주머니의 전자담배가 폭발하면서 병사가 중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화염에 노출돼도 녹지 않아 2차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노멜트 노드립(NO melt, NO drip) 전투복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화재 발생 시 전투복이 녹아내리거나 액체 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로, 화상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황희 의원은 "훈련과 실전에서 화재와 열로부터의 보호는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난연성 피복 보급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인 만큼, 난연성 전투복을 전군으로 확대 보급해 병사 생명과 전투력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gomsi@newspim.com
![[2025 국감] KF-16 조종사, '헬멧장착형 디스플레이' 5명이 한 개 돌려쓴다](https://img.newspim.com/news/2025/10/23/2510231218484630.jpg)





![[기고] 첨단 정보통신? 핵심은 '기본'이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9/24/news-p.v1.20250924.9bc2d4419ed748bdb5ea3f67f5c24aef_P3.jpg)
![[2025 국감] 올해 해군 하사 선발률 역대 최저 43% 기록](https://img.newspim.com/news/2025/10/23/251023105503458_w.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