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공급 대책 없이 현대 공장 설립 허가"…제니퍼 힐번 환경운동가 인터뷰

2024-06-28

투자유치 급급, 지역사회 뒷전

"먼저 짓고 문제는 나중 해결 식"

조지아주는 동남부 카운티 9곳을 연안 지역으로 분류한다. 조지아의 연안 지역은 최근 수년간 브런즈윅 항구와 사바나를 중심으로 물류산업과 제조업이 크게 발전했다. 2020년 71만5000명에서 불과하던 해안 지역 인구는 향후 40년 동안 29만8000명이 늘어 2060년 1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이 지역이 고질적인 물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공업 및 주거 용수 대부분을 사바나 강의 지류인 애버콘(Abercorn) 계곡에서 끌어다 쓴다. 사바나 해안 지역에서 바닷물을 과도하게 끌어 쓸 경우 지하수를 품은 지층(대수층)으로 염분이 들어와 식수가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과거 농업 및 주거지로만 이용됐던 토지가 물류 창고와 산업 용지로 개발되며 수질 위협이 심화되고 있다. 조지아주 정부는 지역 경제의 꾸준한 발전을 위해선 수자원 관리가 가장 시급하다고 보고 2011년 조지아 해안지역 수자원 계획 협의체를 설립, 2060년까지의 중장기적 용수 공급안을 연구하고 있다.

오는 10월 현대자동차의 전기차(EV) 공장 메타플랜트(HMGMA) 가동을 앞두고 물 부족 논란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조지아 해안보존 비영리단체 원헌드레드마일스에서 브라이언·채텀·에핑햄 카운티를 담당하는 제니퍼 힐번(사진) 활동가는 24일 서면 인터뷰를 통해 주정부와 시정부가 대기업 유치에 급급해 상수원 보호는 뒷전에 뒀다고 비판했다.

힐번 활동가는 “다른 지방 정부(블록카운티)에 물을 빌리는 현 상황에 부딪힐 때까지 정부는 메타플랜트와 배터리, 부품 등의 공장들에 공업용수를 공급할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로지 현대차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민간 기업의 상수도 사업 참여를 장려하는 ‘수도 민영화’ 법이 올해 주 의회에서 졸속으로 통과된 점도 꼬집었다. 주 의회 상원은 지난 3월 지자체가 충분한 상수도 공급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면 지자체 허가 없이도 민간이 직접 수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HB 1146)을 통과시켰다.

그는 “개발 당국이 수도와 주택, 교통, 인력 등 지역사회가 전혀 준비하지 못한 인프라를 현대차에 성급히 약속한 것은 불행한 일”이라며 “졸속 정책이 모두 ‘현대’의 이름으로 발표된 탓에 지역 주민들은 비판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페이스북 그룹 ‘이것은 물에 대한 것이다(It's about WATER!!!)'에는 메타플랜트 건설을 반대하는 브라이언 카운티 등 지역 주민 2800명이 가입돼 있다. 지난 3월 의회 수도 민영화법 공청회에서 엘라벨 시의 주민 크리스틴 스탬퍼는 “상하수도, 도로 등 인프라를 마련하고 대형 프로젝트에 착수하는 일반 기업과 달리 현대차는 '먼저 짓고 나중에 해결하자'는 식”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