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남부 이레싱(Erechim)과 인근 지역이 약 20분 동안 하늘에서 쏟아진 야구공 크기 우박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24일(현지시간) 헤비스타오이스치와 CNN브라질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히우그란지두술주 주정부와 이레싱 시 당국은 “강한 비와 함께 떨어진 거대 우박이 나뭇가지를 부러뜨리고 전선을 끊으며 도시를 강타했다”고 밝혔다.
우박은 35곳의 학교 지붕을 뚫었고, 수백 채의 주택 벽체·지붕이 파손됐다. 시민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피해 영상에는 집 앞마당 문에 우박이 들이치고 차량 뒷유리 위에 구멍이 뚫린 모습이 담겼다.
또 이레싱 지역 외에도 인근 파라나주에서도 우박으로 인해 100여명이 주택 파손 신고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매체 G1은 "약 6400가구, 2만 5900여 명이 피해를 봤으며 의료시설 12곳이 영향을 받았고 주민 152명이 머리와 몸을 맞아 병원 치료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날 파울루 폴리스 이레싱 시장은 자신의 SNS에서 “학교 대부분이 휴교했으며 피해를 본 가정에 비상용 비닐 커버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또 에두아르두 레이치 주지사는 약 50만 헤알(약 4억원) 규모의 긴급 지원금을 승인했다.
앞서 이달 초 브라질과 파라과이 등 남미 지역에서도 초대형 우박이 쏟아지면서 농작물이 대량으로 파괴되고 수백 채의 주택이 붕괴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시속 50km가 넘는 강풍과 폭우가 함께 몰아치면서 우박에 부서진 지붕 틈으로 빗물이 유입돼 침수·정전 피해까지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기상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박은 적란운과 같은 고습도의 구름층 안에서 형성된 얼음 알갱이가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계속 위로 떠올려지며 점점 덩치를 키우다, 상승기류가 더는 떠받치지 못할 정도로 무거워졌을 때 지면으로 떨어지는 현상이다. 특히 대기 불안정이 심화돼 상승기류가 비정상적으로 강해질 경우 얼음 조각이 구름 내부에 장시간 머물며 성장해 ‘초대형 우박’으로 발전하게 된다.
![[1년전 오늘] '11월 첫 폭설' 악몽](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206429_920683_123.jpg)





!["창문 스티로폼 봉쇄 이례적"…'사망 55명' 홍콩 화재 키운 주범 [르포]](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7/09d8ab88-8cf5-4675-8c2c-9715319ad6d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