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대식 아시아한상 캄보디아연합회 부회장이 19일 중앙일보에 이같이 밝혔다. 전 부회장은 캄보디아에서 16년째 물류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 5월까지 캄보디아 한인회 부회장을 지내면서 약 3년간 ‘캄보디아 한인구조단’에서 활동해왔다. 교민 20명으로 구성된 현지 한인회 구조단은 현지 범죄단지 웬치(园区)에 감금된 한인 청년들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등 SNS 신고를 받고 약 800명을 구출했다고 한다. 전 부회장은 “올해에만 400명 넘는 이들을 구출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구조 신고 급증과 반비례해 취업사기 등 ‘순수한 피해자’는 줄어드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보이스피싱·로맨스스캠 등 범죄에 가담하는 줄 알면서 입국한 이들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전 부회장은 “구출한 청년들을 또다시 만나는 경우가 있다”면서 “물어보면 ‘이게 돈벌이가 돼서 다시 왔다’고 한다”고 전했다. 월 수천만원처럼 터무니없는 ‘고수익 일자리’가 아니더라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손쉽게 월 300만원 이상을 벌 수 있다는 유혹에 다시 온다고 하면서다.
전 부회장은 “연락을 받고 택시를 보내 애써 구출한 친구 중 한 명은 귀국 방법을 알려주니 ‘조금만 더 기다려보자’라고 하더라”면서 “한국에 가면 처벌받는다는 걸 본인도 알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그는 다른 두 명을 범죄에 꾀어 모집한 혐의로 한국에 돌아가 구속된 뒤 징역 3년을 받았다고 한다.
가족들의 귀국 종용에도 이를 거부하는 청년들도 늘고 있다. 교민 박모씨는 “범죄조직에서 자리를 잡은 한 청년은 부모가 ‘집으로 돌아와라’고 사정을 해도 안 간다고 하고 남았다”고 말했다. 캄보디아에서 약 20명 정도를 구출했다는 다른 교민 장모씨는 “범죄조직이 무작정 감금하진 않는다. 모집할 땐 몸값도 쳐 준다”며 “이번에 송환된 피의자들도 구속 안 하고 풀어주면, 풀려난 다음 날 프놈펜 공항에 도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지 카지노의 한 직원은 중앙일보에 “웬치에서 실적(사기 범죄수익)만 잘 올리면, 자유로운 활동도 허용한다”면서 “잘 벌 때는 일주일에 수천만 원을 벌 수 있다. 이렇게 한번 큰돈을 만지고 나면 한국에 돌아가선 적응을 못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한인회 입장에선 실제 피해자인지 피의자인지 구분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구조 요청을 외면할 순 없다고 말했다. 웬치에 들어간 한국인 청년들이 감금됐다가 구조 신호를 보내면 응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 부회장은 “한인회에 연락이 온 건 휴대전화를 돌려받았다는 뜻”이라면서 “이때 구조 요청자가 ‘식사 시간에 잠깐 나올 수 있다’고 메시지를 하면 ‘다 포기하고 일단 나와라. 우리가 앞으로 가겠다’고 한다”고 말했다. 장소는 프놈펜 시내 호텔과 외곽 범죄단지를 가리지 않는다.

구출한 한국인 청년 대부분 여권·현금 등은 범죄단지에 두고 몸만 빠져 나온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 부회장은 “일단 귀국 비용은 자가 부담”이라면서 “한국에 있는 가족들한테 직접 연락해 송금받아 나가는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그렇지 못한 경우엔 한인회가 비용을 지원한다. 그는 “한국 가면 갚겠다고 약속하는데, 실제로 보내주기도 하고 안 보내는 친구도 많다”고 말했다. 그렇게 한인회가 지출한 송환 비용만 약 4억원에 이른다고 했다.
전 부회장은 “영화에서 볼 법한 장기를 적출할 목적의 인신매매는 몰라도 범죄조직간 ‘인신 거래’는 있다”고 말했다. 시아누크빌에 근거를 둔 범죄조직이 데리고 온 한국인이 일을 잘 못 한다고 하면, 베트남·태국 국경 쪽 조직에 돈을 받고 파는 식이다. 전 부회장은 “지금은 캄보디아 경찰도 움직이는 등 시끄러워져서 민간조직인 한인회가 위험을 무릅쓰기도 어렵다”고 말하면서 “정부간 공식 송환 채널 설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주중 캄보디아 정부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합동TF는 양국 경찰관이 수사 과정에서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수사 공조와 범죄 연루자를 조기 송환하는 조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코리안데스크(한인 수사 전담 조직)를 대신하는 성격의 조직이다. 당장 코리안데스크 설치가 이뤄지지 못한 것과 관련해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코리안데스크 설치가 안 됐다기보다는 확장된 개념으로 양국이 서로 이해한 게 TF”라며 “명칭에 연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