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건설의 날 기념식 행사장 밖 농성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건설업계의 연례 행사인 '2025 건설의 날' 기념식이 열렸지만 행사장 밖 건설회관 앞에서는 노동자들의 절박한 목소리가 쏟아졌다. 정부와 업계가 산업의 성과를 기리는 사이 노동계는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는 대책을 촉구하는 등 기념식장 안팎의 온도차가 뚜렷했다.
분위기는 달랐지만 공통된 화두는 '안전'이었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안전을 산업 재도약의 출발점으로 제시했고 노동계는 '죽지 않고 일할 권리'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건설산업의 미래도 없다고 경고했다.

27일 건설회관에서 열린 제35회 건설의 날 기념식에는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해 여야 국회의원과 건설단체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김 장관은 공공주택 공급과 SOC 예산 집행,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등을 통해 산업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약속했다.
김 장관은 특히 "무엇보다 앞서야 할 것은 안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건설현장의 사고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그 어떤 가치보다 우선돼야 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며 "중대재해와 불법 하도급, 임금 체불을 근절해 신뢰받는 일터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기념식장 바깥 공기는 사뭇 달랐다.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은 건설의 날 행사가 진행되기 이전부터 건설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의 행사는 위기의 건설산업을 살리기 위한 해법은 보이지 않은 채 자화자찬과 포상으로 채워졌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먼저 건설산업의 심각한 현실을 수치로 짚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은행 모두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했는데 건설투자는 –6.1%로 더 가파른 추락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노조는 "부도 위기에 처한 건설업체가 늘어나고, 100만명 이상의 건설노동자가 실업 위기에 놓여 있다"며 "지난해 체불금액만 4780억원에 달해 노동자들이 땀 흘려 일하고도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안전 문제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노조는 "올해 1분기에만 71명의 노동자가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사망사고 상위 10개 기업 중 7곳이 건설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업계는 고령화와 청년 인력 부족을 말하지만, 정작 안전한 현장과 매력적인 일터를 만들기 위한 투자는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건설현장의 심각한 중대재해와 불법 다단계 하도급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라"고 지시한 점도 상기시키며 "정부 스스로도 현실을 알고 있다면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날 ▲불법 다단계 하도급 근절 ▲임금 체불 해소 ▲기후위기 대응 ▲안전한 현장 조성 등을 요구하며 "죽지 않고 일할 권리가 보장되지 않는 한 건설산업의 미래도 없다"고 강조했다.

min72@newspim.com